대구 북구, 팔거산성 일원 “신라시대 목간” 발굴···대구서 목간 출토 '최초'
2021-04-28 18:01
602년과 606년 제작···대구지역 최초 발견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석축(石築) 7기, 추정 집수지(集水地) 2기, 수구(水口) 등의 유구가 발견되었다. 석축은 조사지역 북쪽 경사면에 조성되었으며, 일부 유구가 중복되어 있어 석축 사이에 축조 순서 또는 시기 차가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집수지는 남반부 평탄면에 조성되었는데, 추정 집수지 1호는 돌, 2호는 목재를 사용하여 조성되었다.
특히 목간이 출토된 추정 집수지 2호는 길이 7.8m, 너비 4.5m, 높이 약 3m이며, 면적은 35.1㎡이고 저수 용량은 약 10만5300ℓ다.
이는 남북으로 경사지게 땅을 파고 목재 구조물을 설치한 후 돌과 점토를 사용해 뒤를 채웠다. 특히 목재 구조물은 바닥에 기초목(基礎木)을 설치하고 그 위에 기둥을 세운 다음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옆으로 판재(板材)를 설치했다.
한편 추정 집수지 2호에서는 대구에 있는 유적으로는 최초로 신라 목간이 출토되었다. 신라의 지방 유적에서 목간이 출토된 사례는 인천의 계양산성(桂陽山城), 경기도 하남의 이성산성(二聖山城), 경남 함안의 성산산성(城山山城) 유적 등이 있다.
또한 지난 2019년 11월에는 대구 인근 지역인 경산 와촌면 소월리에서도 6세기 신라 토지 관련 목간이 발견되었는데 대구에 있는 유적에서 목간이 출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1점 가운데 8점에서 글자 또는 글자의 흔적이 보이고, 그중에는 제작 시점을 추정할 수 있는 간지(干支)와 곡식 이름이 등장한다.
목간이 담고 있는 내용이 곡식과 관련된다는 점 그리고 삼국시대 신라의 지방 거점이 대부분 산성이었다는 점 그리고 기존 신라 목간이 출토된 곳이 대부분 군사 및 행정 거점이었다는 점에서 팔거산성도 다른 출토 지역과 마찬가지로 지방에서 군사적으로 중요하면서 물자가 집중되던 거점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대구에 있었던 지명으로 팔거리현(八居里縣)이 등장하는데, 이곳은 그동안 현재 팔거산성이 위치한 대구 칠곡 지역을 가리킨다고 막연히 추정해 왔다. 이번에 새롭게 출토된 목간을 통해서 대구 칠곡 지역을 중심으로 하면서 금호강 하류 지역과 낙동강이 합류하는 지역을 통제하던 곳이 팔거산성이었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
박희준 대구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이번 팔거산성 발굴조사 성과와 출토된 목간 자료 등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시 기념물 팔거산성의 성격을 규명하고 위상을 밝히는 토대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배광식 북구청장은 “이번 발굴조사를 계기로 사적 제544호 대구 북구 구암동 고분군과 더불어 시 기념물 제6호인 팔거산성의 국가사적 승격을 위한 종합정비계획을 마련하고 구암동 고분군 누리길, 고대 역사문화체험 특구와 연계하여 지역의 우수한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우리 지역의 문화에 대한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지역민에게는 올바른 역사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계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