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일본] ①가난해지는 일본인, '한국 월급쟁이'가 부럽다

2021-04-29 06:00
작년 -4.8% GDP 역성장 이어 경제지표 악화에 "일본이 가난해진다" 아우성
20년간 임금 정체에 가난해지는 국민...초임 연봉·실질 소득까지 韓보다 적어

한때 미국을 위협할 정도로 세계 경제를 호령하던 경제대국 일본에 짙은 위기감이 내리고 있다. 1990년대 초 '거품 경제' 붕괴로 맞은 '잃어버린 30년' 동안 경제지표가 무너져내린 데 이어, 일본 국민들의 생활 수준도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떨어졌다는 한탄이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지난해 일본 경제가 '-4.8%'나 역성장하자, 올해 들어 일본 언론들의 경제 보도는 "일본이 점점 가난해지고 있다"고 아우성치고 있다. 특히, 슈칸분슌과 슈칸겐다이 등의 주간지는 자국의 임금 수준 하락을 우려하며 지난해 말부터 집중적으로 '가난한 일본인'에 대한 보도를 쏟아내고 있다.

일본 출판시장 역시 이같은 내용의 책이 인기다. 지난해 5월 가타니 규이치가 출간한 '가난뱅이 나라로 전락하고 있는 일본에서 어떻게 살아갈까?'에 이어 올해 3월 출판한 나가토 레이의 '값싼 일본산 가격이 보여주는 경기 침체'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과거에도 일본 경제 구조에 대해 '부자 나라, 가난한 국민'이라는 평가가 없던 것은 아니지만, 최근과 같이 일본 내부에서 이런 불만이 터져나오던 때는 찾기 어렵다.
 

지난 23일 제3차 코로나19 긴급사태를 선포하는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사진=EPA·연합뉴스]


지난 3월 4일 슈칸분슌은 "가까운 미래에는 일본인들이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지역에 '외화 벌이'를 하러 나가야 할 판"이라면서 "최근 일본인의 임금 수준은 다른 선진국뿐 아니라 한국과도 비교했을 때 크게 낮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매체는 그러면서 "일본이 세계 '톱 클래스'의 부유한 선진국이라는 과거 일본인에게 당연했던 '상식'이 굉음을 내며 무너지고 있다"면서 "우리(일본인)는 '급속하게 가난해지고 있는 나라'라는 새로운 상식과 어려운 현실을 받아들이고 기존의 가치관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한다.

특히, 슈칸분슌은 '일본의 생활 물가 수준이 낮아 임금이 오르지 않아도 살 만했다'는 견해조차 옛말이라고 꼬집는다.

기사는 "거품경제 붕괴 이후 지난 20년 동안 세계 경제 규모가 1.5~2배가량 확대하면서 수입물품 가격은 그만큼 올랐지만, 경제 성장을 멈추고 임금 상승세도 답보 상태인 일본 안에서 같은 물건의 가격은 상대적으로 비싸졌다"면서 "일본인들에겐 자가용 자동차조차 이제는 '그림의 떡'이 됐다"고 지적한다.

일본의 자동차 제조사인 도요타는 자동차 1대당 평균 판매가격을 지난 20년 동안 세계 경제 수준에 맞춰 1.5배 높였지만, 같은 기간 임금이 거의 오르지 않은 일본인들에겐 이 가격이 이젠 비싼 수준이 됐다는 것이다.

'가난뱅이 나라로 전락하고 있는 일본에서 어떻게 살아갈까?'의 저자 가타니 규이치는 지난해 12월 슈칸분슌에서 12년 동안 근속한 40세 초반 회사원의 월급 실수령액이 14만엔에 불과한 사례를 소개하면서 지난 20년 동안 실질 임금 수준은 하락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일본 기업들이 1990년대를 경계로 경제 성장세가 꺾이면서 노동자의 임금을 감축해 기업 이윤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꼬집는다.

규이치는 특히 일본 경제의 구조 개혁을 내세웠던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아베노믹스'가 실제로는 '이윤 주도형 성장 전략'을 가속화해 노동자 소득 감소 추세에 불을 붙였다면서 향후 일본 경제가 '임금 주도형 성장 전략'을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일본 기업의 부진은 규이치의 주장과 같은 경제 구조 전환은 물론 일본의 임금 수준 개선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이와 관련해 슈칸겐다이는 "자동차, 철강, 전기산업 등 그간 일본 경제를 지탱해온 기간 산업이 무너지면서 일본산 제품(일제)에 작별을 고해야 한다"면서 "10년 후인 2030년에는 미래 산업에 적응하지 못한 371개의 일본 주요 기업들이 도태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지난 25일 일본 오사카부 츠텐카쿠 타워에 코로나19 긴급사태 상태임을 알리는 붉은색 경보가 켜졌다. [사진=UPI·연합뉴스]

 
20년간 임금 상승 정체...초임 연봉·실질 소득까지 한국보다 적어
실제 일본 후생노동성이 지난 3월 31일 발표한 '레이와 2년(2020년) 임금구조 기본통계 조사'에서 일본 노동자의 임금 평균치는 전년 대비 0.6% 증가한 30만7700엔(약 314만 2140원)이었다. 다만, 1년 사이 통계조사 방식이 바뀌면서 평균 임금 액수는 2019년의 30만7700엔으로 같았다.

이는 평균 연령 43.2세, 근속 연수는 11.9년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초임 월급의 경우 최종 학력이 대학원(석사·박사급) 이상일 경우 25만5600엔(약 261만110원), 대학교와 고등학교를 졸업했을 때는 각각 22만6000엔(약 230만8274원)과 17만7700엔(약 181만4957원) 수준이다.

반면 우리나라 노동자의 2019년 평균 소득은 각각 전년 대비 4.1% 상승한 309만원을 기록했다. 2018년 297만원에서 12만원 오른 수준이다. 중위 소득의 경우 전년(220만원) 대비 6.3%(14만원) 오른 234만원이었다.

이는 지난 2월 24일 발표한 통계청의 '2019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 내용으로 가장 최신 통계다.

고용노동부의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최종학력별 초임(경력 1년 미만) 수준은 고졸의 경우 202만2000원, 대졸(대학, 대학원 졸업 포함) 이상 274만3000원이었다.

양국의 환율과 물가 수준, 각 통계 조사 방법 등을 감안해 두 통계를 직접적으로 비교할 순 없지만, 대체적으로 전체 평균 임금은 일본이, 초임은 우리나라가 소폭 더 높은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
 

OECD가 집계한 2019년 기준 평균 임금. 파란색이 우리나라, 노란색이 일본. [자료=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양국의 임금 수준을 직접 비교할 수 있는 통계치도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구매력평가지수(PPP)를 사용해 미국 달러화로 환율과 물가 차이를 고정한 후 집계한 평균 임금 통계다.

이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우리나라의 평균 임금은 4만2285달러(약 4710만1262원)로 OECD 내 19위 수준이지만, 일본은 3만8617달러(약 4301만5476원)로 전체 24위를 기록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해당 지표는 이미 지난 2015년부터 일본을 넘어선 상태이기에 이를 일시적인 추이로 볼 수는 없다.

지난 2011년 우리나라와 일본의 PPP 환산 평균 임금은 각각 3만6012달러와 3만8627달러로 2615달러까지 벌어졌지만, 이후 격차를 좁혀갔다. 2014년에는 각각 3만6492달러와 3만7265달러를 기록한 뒤 2015년 우리나라는 3만7513달러를 기록해 일본의 3만7226달러를 추월했다.

우리나라는 2014년 이후 매년 1000달러에 가까운 상승세를 보이면서 2018년 사상 처음으로 4만 달러를 넘어선 반면, 일본의 평균임금은 거의 제자리 걸음을 하며 여전히 3만8000달러대에 머물러 있다.

각국의 소득 분배 수준과 빈곤 정도를 파악할 때 활용하는 가처분소득의 경우 차이는 더욱 극심해진다. 이는 각 가구의 전체 소득을 가구원 수로 나눠 가구원 1인당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수입을 표준화한 지표다.

OECD의 해당 통계에 따르면, 일본의 평균 가처분소득(Mean disposable income)과 중위가구 가처분소득(Median disposable income)은 각각 2006년 296만3009엔과 259만7005엔에서 2015년 283만6800엔과 244만3000엔으로 감소했다. 일본의 경우 2015년 이후 추가 통계치가 나오지 않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2006년 각각 1759만9646원과 1598만8008원 수준에서 2015년에는 2860만원과 2448만원까지 상승했으며, 가장 최신 통계치인 2018년에는 각각 3210만원과 2756만원을 기록했다.

이를 통해 일본의 개인 실질 소득은 줄어드는 추세인 반면, 우리나라는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해당 통계는 각국의 환율을 기준으로 나왔기 때문에 직접 비교를 위해선 PPP 환율로 환산해야 한다. PPP란 각 나라의 물가 수준을 일정한 환율(일반적으로 미국 달러화 기준)로 변환한 지표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2010~2019년 평균임금 추이 비교. [자료=아주경제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