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코로나19 고용 충격, 초등생 자녀 둔 엄마에 집중"

2021-04-22 14:23
기혼여성, 기혼남성 대비 실업 확률 2배·경제활동 이탈 확률 3배 높아
실업은 대면서비스업 중심 종사 구조에 비경제활동은 자녀 돌봄이 원인

김지연 KDI 경제전략연구부 연구위원이 22일 정부세종청사 브리핑룸에서 '코로나19 고용충격의 성별 격차와 시사점' 보고서를 설명하고 있다.  [KDI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고용충격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엄마에게 가장 가혹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여성의 실업은 대면서비스업의 위축이라는 수요 측 요인이 작용한 반면 경제활동에서 아예 이탈하는 이유는 자녀 돌봄의 영향이 컸다.

김지연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이 22일 발표한 '코로나19 고용충격의 성별 격차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기혼여성의 고용률이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

2020년 1월과 비교했을 때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3월 -6.18%, 4월 -6.63%를 기록하며 급격히 하락했다. 같은 시기 기혼남성의 고용률은 -2.09%, -2.53%로 집계됐다. 미혼의 경우 남녀 간의 고용률 하락에 두드러지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김 연구위원은 "IMF 위기에서는 기혼남성에, 코로나19 위기에서는 기혼여성에 상대적으로 고용충격이 집중됐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위기 이후 기혼여성은 기혼남성 대비 실업자가 되거나 비경제활동인구로 이동할 가능성이 커졌다. 코로나19가 1차 확산한 2020년 3월 기혼여성 취업자가 실직할 확률은 1.39%로 코로나19 이전인 같은해 1월(0.68%) 대비 2배 증가했다. 기혼남성이 실업자가 될 확률은 0.1%포인트 오른 0.75%로 나타났다.

기혼여성 취업자가 경제활동을 중단하고 비경제활동인구로 이행할 확률은 1월 3.09%에서 3월에는 2%포인트 오른 5.09%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기혼남성이 비경제활동인구가 될 확률은 1.15%에서 1.67%로 0.52%포인트 올랐다.

기혼여성이 기혼남성보다 실업자가 될 확률은 약 2배, 경제활동에서 아예 이탈할 확률은 약 3배나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혼여성이 실업자가 되는 요인과 경제활동에서 이탈하는 요인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코로나19 고용 충격이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은 노동 수요 측 원인과 공급 측 원인으로 나눠서 볼 수 있다.

먼저 노동수요가 축소된 산업에 여성의 종사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 2020년 3월 고용률이 하락한 상위 3개 업종(교육 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점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에 전체 여성 취업자의 38%가 종사해 남성(13%) 대비 비중이 컸다.

노동 공급 측면에서는 보육시설 운영 중단과 학교 폐쇄로 인해 자녀돌봄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고, 이는 가사노동을 주로 맡고 있는 여성의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에서는 성별 격차가 대면서비스업의 높은 여성 종사자 비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를 판단하기 위해 업종효과를 통제했다. 그 결과 실업으로의 이행확률은 남녀 간 격차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실업의 원인은 남녀 간 업종 차이에서 기인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반면 비경제활동으로의 이행은 업종효과를 통제하고서도 여성이 남성에 비해 1.0%포인트 높았는데, 이는 업종의 차이만으로는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이탈을 설명할 수 없다는 의미다.

업종 요인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격차는 학교 폐쇄로 인한 가정 내 자녀돌봄 증가가 원인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인구동향조사의 평균 출산연령에 기반해 자녀유무와 자녀연령을 추산해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 자녀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39~44세 집단에서 노동공급 성별 격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39~44세 집단에서 업종 통제 전 남녀의 비경제활동 이행확률 격차는 2.8%포인트, 업종을 통제한 후에도 1.7%포인트의 차이가 있었다.

김 연구위원은 "기혼여성의 상대적인 실업 증가는 여성의 대면서비스업 취업비중이 높은 데 따른 노동수요 요인에 주로 기인한 반면 비경제활동의 증가는 학교 폐쇄로 인한 자녀돌봄 부담 증가를 비롯한 공급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그는 "여성의 이른 경력단절은 영구적인 인적자본 손실로 이어지고 코로나19 위기가 끝난 후 경제의 생산성과 활력을 저해할 수 있다"며 "영유아 중심인 현행 돌봄지원정책이 초등학생 이상 자녀를 포괄할 수 있도록 개편하고 실직자들은 유망산업으로의 직업훈련을 강화하는 노력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