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연내 美금리 인상 가능성 매우 낮다"...파월 '2023년 제로금리' 재확인
2021-04-12 09:59
올 하반기 강력한 경제 회복...매달 일자리 100만개↑
"실업률 감소세가 반드시 인플레이션 일으키진 않아"
"물가 2%까지 완만히 상승할 때까지 금리 기다릴 것"
"금융 위기 가능성은 낮아...사이버 공격이 더 위협적"
"실업률 감소세가 반드시 인플레이션 일으키진 않아"
"물가 2%까지 완만히 상승할 때까지 금리 기다릴 것"
"금융 위기 가능성은 낮아...사이버 공격이 더 위협적"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이 2023년까지 '제로(0) 금리' 방침을 재확인했다. 올해 안에 미국의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도 매우 낮을 뿐 아니라, 경제가 완전히 회복하기 전까지 연준은 기다리겠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한 것이다.
11일(현지시간) 파월 의장은 CBS에 출연해 현재 미국의 경제 회복 상황과 연준의 통화정책 방침을 설명했다. 해당 방송은 지난 7일 미국 워싱턴DC 연준 청사에서 녹화를 진행한 후 이날 오후 7시 미국의 유명 시사 프로그램인 '60분'을 통해 방영했다.
이날 파월 의장은 "올해 말까지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생각한다"면서 "다른 연준 이사들 역시 오는 2022년도까지 금리 인상에 대해 전혀 예상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연준은 경기 회복이 완료할 때까지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것을 할 것"이라면서 "저는 이를 보장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강한 어조로 덧붙였다.
지난해 3월 연준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제 충격을 이유로 미국의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0.00~0.25%로 유지하는 '제로' 금리 방침을 결정했으며, 향후 미국 경제가 코로나19 충격을 완전히 벗어날 것으로 예상하는 2023년까지 이를 유지할 것이라고 약속해왔다.
앞서 진행자인 스콧 펠리 CBS 앵커는 파월 의장에게 △최근 미국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를 보이고 있는 점과 △아케고스의 블록딜 사태 등으로 다시 촉발한 주식시장 '투기 거품' 논란에 대해 입장을 물었다.
우선 파월 의장은 "지금 우리는 미국 경제가 변곡점에 서있는 것처럼 보고 있다"면서 "광범위한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강력한 재정·통화정책 지원 덕분에 경제와 일자리가 훨씬 더 빠르게 성장하고 회복하는 것처럼 느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올해 하반기에는 매우 강력한 (경제) 성장이 예상되며, 향후 수개월동안 매달 거의 100만개의 일자리가 창출할 것"이라면서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년래 가장 높은 수준인 6~7%, 현재 6%대인 실업률은 4~5%까지 하락할 것으로 봤다.
다만, 파월 의장은 "지금 경제를 가장 크게 위협하는 것은 코로나19의 재확산"이라면서 아직 미국 경제가 '숲(위험한 시기)을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니기에 미국인들이 사회적 거리 두기를 준수하고 마스크를 착용할 것을 권고했다.
그는 특히 11개월 전인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당시에는 "코로나19 확산 경로도 백신 접종 가능성도 확신할 수 없다는 점에서 미국 경제가 어떻게 될지 전혀 몰랐기에 두려웠다"고 진솔하게 털어놨다.
그러면서 그는 "1년 전 우리가 두려워했던 것보다는 상당히 나은 성과를 거뒀지만, 코로나19로 미국에서 55만명 이상이 사망했다는 비극을 잊으면 안된다"고 덧붙였다.
특히, 일각에서 나오고 있는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해서는 "연준의 임무는 최대 고용(완전 고용·실업률 3~4% 이하)을 창출할 수 있을 만큼 경제를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이지만, 인플레이션이 시작할 만큼 뜨겁게 달구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급격한 고용시장 회복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를 인식한 듯 "연준은 그동안 경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추가했다"면서 "지난 몇 번의 주기에서 연준은 실업률이 낮아져도 (반드시) 인플레이션이 상승하진 않는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파월 의장은 이어 1970년대 인플레이션 사태를 언급하며 "당시의 끔찍한 시절로 돌아가는 것을 원하진 않지만, 실제 인플레이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기다릴 수는 있다"면서 "우리(연준)는 지속 가능한 기반에서 시간을 두고 물가가 2% 이상까지 완만하게 움직이는 것을 보길 원하며 이 이후에나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파월 의장은 주식시장 거품 논란에 대해서는 "자산 거품을 완벽하게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은 없다"면서 "따라서 심각한 충격에도 탄력적으로 회복할 수 있는 강한 금융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 매우 신중하게 모니터링하고 전 세계 규제 당국과 협력할 것"이라는 원론적인 입장을 내놨다.
다만, 현재 금융시장의 경우 지난 2008년과 같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재발 가능성은 매우 낮은 상황이며, 오히려 더 큰 위협은 '사이버 공격'으로 주요 금융기관이 일부 혹은 광범위하게 지불 능력을 상실하는 경우라고도 덧붙였다.
11일(현지시간) 파월 의장은 CBS에 출연해 현재 미국의 경제 회복 상황과 연준의 통화정책 방침을 설명했다. 해당 방송은 지난 7일 미국 워싱턴DC 연준 청사에서 녹화를 진행한 후 이날 오후 7시 미국의 유명 시사 프로그램인 '60분'을 통해 방영했다.
[출처=유튜브/CBS]
이날 파월 의장은 "올해 말까지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생각한다"면서 "다른 연준 이사들 역시 오는 2022년도까지 금리 인상에 대해 전혀 예상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3월 연준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제 충격을 이유로 미국의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0.00~0.25%로 유지하는 '제로' 금리 방침을 결정했으며, 향후 미국 경제가 코로나19 충격을 완전히 벗어날 것으로 예상하는 2023년까지 이를 유지할 것이라고 약속해왔다.
앞서 진행자인 스콧 펠리 CBS 앵커는 파월 의장에게 △최근 미국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우려를 보이고 있는 점과 △아케고스의 블록딜 사태 등으로 다시 촉발한 주식시장 '투기 거품' 논란에 대해 입장을 물었다.
그는 이어 "올해 하반기에는 매우 강력한 (경제) 성장이 예상되며, 향후 수개월동안 매달 거의 100만개의 일자리가 창출할 것"이라면서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년래 가장 높은 수준인 6~7%, 현재 6%대인 실업률은 4~5%까지 하락할 것으로 봤다.
다만, 파월 의장은 "지금 경제를 가장 크게 위협하는 것은 코로나19의 재확산"이라면서 아직 미국 경제가 '숲(위험한 시기)을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니기에 미국인들이 사회적 거리 두기를 준수하고 마스크를 착용할 것을 권고했다.
그는 특히 11개월 전인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당시에는 "코로나19 확산 경로도 백신 접종 가능성도 확신할 수 없다는 점에서 미국 경제가 어떻게 될지 전혀 몰랐기에 두려웠다"고 진솔하게 털어놨다.
그러면서 그는 "1년 전 우리가 두려워했던 것보다는 상당히 나은 성과를 거뒀지만, 코로나19로 미국에서 55만명 이상이 사망했다는 비극을 잊으면 안된다"고 덧붙였다.
특히, 일각에서 나오고 있는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해서는 "연준의 임무는 최대 고용(완전 고용·실업률 3~4% 이하)을 창출할 수 있을 만큼 경제를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이지만, 인플레이션이 시작할 만큼 뜨겁게 달구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급격한 고용시장 회복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를 인식한 듯 "연준은 그동안 경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추가했다"면서 "지난 몇 번의 주기에서 연준은 실업률이 낮아져도 (반드시) 인플레이션이 상승하진 않는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파월 의장은 이어 1970년대 인플레이션 사태를 언급하며 "당시의 끔찍한 시절로 돌아가는 것을 원하진 않지만, 실제 인플레이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기다릴 수는 있다"면서 "우리(연준)는 지속 가능한 기반에서 시간을 두고 물가가 2% 이상까지 완만하게 움직이는 것을 보길 원하며 이 이후에나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파월 의장은 주식시장 거품 논란에 대해서는 "자산 거품을 완벽하게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은 없다"면서 "따라서 심각한 충격에도 탄력적으로 회복할 수 있는 강한 금융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 매우 신중하게 모니터링하고 전 세계 규제 당국과 협력할 것"이라는 원론적인 입장을 내놨다.
다만, 현재 금융시장의 경우 지난 2008년과 같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재발 가능성은 매우 낮은 상황이며, 오히려 더 큰 위협은 '사이버 공격'으로 주요 금융기관이 일부 혹은 광범위하게 지불 능력을 상실하는 경우라고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