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업계 중고차 판매 완성차 역차별(?)... “같은 시스템 도입하면 ‘상생 가능’”

2020-12-11 14:49

완성차업계의 중고차 판매업 진출을 두고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상생을 위해 한 발씩 물러나 합의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국내 완성차업계를 차별하지 않고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하되, 수입차업계와 같은 ‘인증 중고차 시스템’을 도입하자는 견해다. 완성차업계는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고, 기존 중고차 사업자들은 안정적인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어 상생 가능할 것이란 분석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중고차 판매업의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 여부에 대한 결정이 해를 넘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7일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공청회까지 열었지만 별다른 소득이 극단을 달리고 있는 입장 차만 확인했다. 이후 논의도 지지부진한 상태다. 이로 인해 업계 간 반목은 심화되고, 중고차 시장의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다.

당시 완성차업계를 대표했던 김주홍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상무는 기존 중고차 시장에 대해 “매우 낙후돼 불투명하고 비정상의 거래로 품질 신뢰도가 떨어진다”며 “소비자 불신이 심화하고 있는 만큼 중고차업계 보호보다는 소비자 보호를 우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고차 시장이 다양한 사업자 간 경쟁으로 시장의 건전성이 회복되면 소비자 신뢰가 회복되고 중고차 시장도 질적으로 신장할 것”이라며 “미국이나 독일도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 발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중고차업계의 입장에 섰던 임재강 대전중부자동차매매사업조합 조합장은 “(한국 자동차 생산의) 70∼80%의 막대한 영향력을 가진 회사가 매집에 나서면 중고차 시장 생태계는 완전히 무너지고 사멸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정의당 류호정 의원이 ‘6년·12만㎞ 이하’로 매물을 제한한 완성차업계의 상생 방안에 대해서도 “결국 우리는 사고 난 차, 주행거리 많은 차만 취급하게 되고 거기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은 더 커질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 같이 완성차업계와 중고차업계가 대립각을 세운 가운데 국내 중고차 시장 매출 기준 1위 케이카(K-car)의 정인국 대표가 새로운 대안을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 수입차업계의 인증 중고차 시스템이라면 모두가 받아드릴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인증 중고차 시스템은 딜러십 체제를 통한 간접 판매방식으로 제조사가 인증중고차의 조건과 품질, 서비스 등 기본적인 매뉴얼을 설정하고 관리•감독하는 형태다. 직접적으로 매입과 판매에 관여하지 않으면서, 자사 브랜드와 중고차 시장의 신뢰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물론 완성차업계에도 실익이 있다. 여러 중고차 프로모션을 통한 신차 판매 확대와 부품 제휴 등을 비롯한 부수적인 수익 확보 등이 대표적인 예다. 실제 벤츠코리아, BMW코리아, 볼보자동차코리아 등 수입차업계는 이 같은 인증 중고차 시스템을 통해 충성도 높은 고객을 늘리고, 딜러사와 상생도 도모하고 있다.

정인국 케이카 대표는 “현대차 역시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인증 중고차 시스템 ‘현대 프로미스’를 운영하고 있다”며 “국내 역시 딜러십 체제로 진행하는 것이 생태계 내 상생•공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중고차 판매업은 2013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되며 대기업 진출이나 확장이 사실상 금지됐다. 적합업종 지정은 지난해 일몰됐지만, 이를 대체하는 소상공인 생계형 적합업종 제도가 도입됐다. 이번에 생계형 적합업종 다시 중고차 판매업이 지정되면 완성차업계를 비롯한 대기업은 향후 5년간 다시 이 시장에 진입할 수 없다.
 

서울 동대문구 장한평 중고차 시장 전경.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