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엿보기] 병상을 지킨 아들의 ‘존재기억‘...‘엄마의 마지막 말들’
2020-11-12 17:29
1년의 간병 통한 어머니의 사랑과 존엄성에 대한 ‘마음 깊은 기록‘
“춥다. 목도리 하고 다니라.”·“오지 마라. 힘들다.”·“여기서 자고 가라.”
우리가 평소에 어머니께 자주 듣는 너무나 평범한 말들이다. 하지만 어머니의 마지막 1년을 함께 한 아들에게는 이 말들 하나하나가 너무나 소중했다.
박희병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쓴 책 ‘엄마의 마지막 말들’(출판사 창비)이 최근 발간됐다.
저자는 책머리를 통해 “나의 어머니는 2018년 10월부터 와병 생활에 들어가 다음해인 2019년 10월 24일 세상을 하직하셨다. 나는 이 기간동안 ‘휴업’을 하고 어머니에게 전념했다”고 말했다.
이어 박 교수는 “어머니는 말기암과 알츠하이머성 인지저하증이라는 이중의 어려움에 직면해 있었지만 그럼에도 끝까지 최소한의 주체성을 놓지 않으셨다. ‘보기’와 ‘말하기’가 그것을 가능하게 했다”고 적었다.
어머니의 보호자이자 관찰자이자 기록자로서 저자는 어머니의 한 두마디 짧은 말들을 오롯이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다.
남들에게는 인지저하증과 항정신성 약물을 투여 받고 있기 때문에 전후 맥락이 없고 의미 없는 말처럼 보였지만, 아들에겐 달리 보였다.
저자는 “어머니의 이 말들이 모두 의미가 없는 말들은 아니며 단지 의미가 해독되지 못하고 있을 뿐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됐다”며 “세상의 모든 어머니와 자식들이 대게 그러하듯 나의 어머니와 나 또한 아주 특별한 ‘존재관련’ 속에서 있었다. 이 특별한 ‘존재관련’ 때문에 나는 어머니의 말들 속으로 들어갈 수 있었고, 오랜 내밀한 기억들을 소환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늦었는데 밥 한 그릇 해가 간단히 묵자.”
병실에서 이 말을 들은 박 교수는 “엄마는 몇십년 전의 시공간 속에 계시면서 이 말을 하셨을 것이다. 엄마가 40대이거나 50대이거나 혹은 60대였을 때 저녁 무렵이면 엄마는 이런 어법으로 말씀하시곤 했었다”며 “엄마가 이 말을 하셨을 때 나는 40대의, 혹은 50대의, 혹은 60대의 엄마와 만나고 있었던 것이다”고 받아들였다.
저자는 마지막 말들을 통해 엄마의 가족에 대한 사랑, 엄마의 인생, 투병 생활의 어려움, 삶과 죽음의 경계에 선 엄마에 대한 안타까움 등을 독자들에게 전달한다. 담담하게 적어 더욱 먹먹하다.
경험에서 나오는 국내 호스피스 의료에 대한 작가의 생각도 적었다. 죽음 앞에 선 인간의 존엄에 대한 화두를 던진다. 어느 호스피스 병동, 어느 의사냐에 따라 어머니의 상태가 달라졌다고 전한 박 교수는 “한국에서 호스피스 의료는 아직 걸음마 단계이며 갈 길이 멀다”며 “호스피스 의료진에 정신과 전공 의사가 포함되는 방향으로 장차 제도 개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세월의 흘러감은 누구도 피할 수 없다. ‘엄마의 마지막 말들’은 부모님의 죽음 또는 자신의 죽음 그리고 삶의 소중함에 대해 곰곰이 생각하게 되는 책이다.
우리가 평소에 어머니께 자주 듣는 너무나 평범한 말들이다. 하지만 어머니의 마지막 1년을 함께 한 아들에게는 이 말들 하나하나가 너무나 소중했다.
박희병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쓴 책 ‘엄마의 마지막 말들’(출판사 창비)이 최근 발간됐다.
저자는 책머리를 통해 “나의 어머니는 2018년 10월부터 와병 생활에 들어가 다음해인 2019년 10월 24일 세상을 하직하셨다. 나는 이 기간동안 ‘휴업’을 하고 어머니에게 전념했다”고 말했다.
이어 박 교수는 “어머니는 말기암과 알츠하이머성 인지저하증이라는 이중의 어려움에 직면해 있었지만 그럼에도 끝까지 최소한의 주체성을 놓지 않으셨다. ‘보기’와 ‘말하기’가 그것을 가능하게 했다”고 적었다.
어머니의 보호자이자 관찰자이자 기록자로서 저자는 어머니의 한 두마디 짧은 말들을 오롯이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다.
남들에게는 인지저하증과 항정신성 약물을 투여 받고 있기 때문에 전후 맥락이 없고 의미 없는 말처럼 보였지만, 아들에겐 달리 보였다.
저자는 “어머니의 이 말들이 모두 의미가 없는 말들은 아니며 단지 의미가 해독되지 못하고 있을 뿐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됐다”며 “세상의 모든 어머니와 자식들이 대게 그러하듯 나의 어머니와 나 또한 아주 특별한 ‘존재관련’ 속에서 있었다. 이 특별한 ‘존재관련’ 때문에 나는 어머니의 말들 속으로 들어갈 수 있었고, 오랜 내밀한 기억들을 소환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늦었는데 밥 한 그릇 해가 간단히 묵자.”
병실에서 이 말을 들은 박 교수는 “엄마는 몇십년 전의 시공간 속에 계시면서 이 말을 하셨을 것이다. 엄마가 40대이거나 50대이거나 혹은 60대였을 때 저녁 무렵이면 엄마는 이런 어법으로 말씀하시곤 했었다”며 “엄마가 이 말을 하셨을 때 나는 40대의, 혹은 50대의, 혹은 60대의 엄마와 만나고 있었던 것이다”고 받아들였다.
저자는 마지막 말들을 통해 엄마의 가족에 대한 사랑, 엄마의 인생, 투병 생활의 어려움, 삶과 죽음의 경계에 선 엄마에 대한 안타까움 등을 독자들에게 전달한다. 담담하게 적어 더욱 먹먹하다.
경험에서 나오는 국내 호스피스 의료에 대한 작가의 생각도 적었다. 죽음 앞에 선 인간의 존엄에 대한 화두를 던진다. 어느 호스피스 병동, 어느 의사냐에 따라 어머니의 상태가 달라졌다고 전한 박 교수는 “한국에서 호스피스 의료는 아직 걸음마 단계이며 갈 길이 멀다”며 “호스피스 의료진에 정신과 전공 의사가 포함되는 방향으로 장차 제도 개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세월의 흘러감은 누구도 피할 수 없다. ‘엄마의 마지막 말들’은 부모님의 죽음 또는 자신의 죽음 그리고 삶의 소중함에 대해 곰곰이 생각하게 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