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효백의 新아방강역고-4] 동만주는 고려의 직·간접 통치지역

2020-10-16 07:00
『고려사』『금사(金史)』 한·중 정사 두 권과 『세종실록』 「지리지」 기록

[강효백 경희대 법무대학원 교수]

19세기 후반까지 만주가 정말 한국 영토였다면 그 많은 변학도 같은 사또들은 어디로 갔을까?

『고려사』, 『고려사절요』, 『조선왕조실록』, 『동국대지도』, 『금사(金史)』, 『사고전서(四庫全書)』, 『황여전람도(皇輿全覽圖)』등 수많은 한·중 양국 대표사서와 문헌과 고지도, 400여점의 서양 고지도가 증언하다시피 만주가 고려에서 조선 후기까지 우리 땅이라면 우리 조정에서 파견한 수 많은 지방관리들이 하는데 어찌 하나도 없을까? 영원히 풀리지 않는 미스테리 같다!

그러나 이는 『고려사』와 『금사(金史)』 한·중 정사 두 권과 『세종실록』 「지리지」를 한 번만 읽어보아도 미스테리는커녕 수수께기도 아니다. 필자는 위 세 책에서만 지린성 전역과 헤이룽장성 중부이남, 연해주등 동만주지역은 원나라 지배기(1270~1356년)를 제외하고 고려의 직·간접통치지역이라는 증거를 무수히 확보했다. 지면 관계상 스모킹건 6건만 소개하겠다.
 
1. 고려의 동북 경계는 두만강 북쪽 700리

1) 윤관이 6성을 쌓아 공험진에 비를 세워 경계로 삼았다.
윤관(尹瓘)이 여진을 평정하고 새로 6성을 쌓았으므로 표문을 받들어 하례하였다. 공험진(公嶮鎭)에 비를 세워 경계로 삼았다. -『고려사』 세가 제12권 1108년 2월 27일(음)

2) 공험진에 비(碑)를 세워 계(界)의 끝으로 삼았다.
-『고려사절요』 제7권 1108년(예종3년)2월 (음)

3) 윤관이 북계 9성을 완성하고 사민시키다. 윤관이 의주성, 통태성, 평융성의 3성을 쌓아 함주, 영주, 웅주, 길주, 복주, 공험진과 함께 북계 9성으로 삼았다. 모두 남계의 백성들을 옮겨 채웠다. 『고려사』 제12권 열전제9

4) 비록 연혁과 명칭은 같지 않지만 고려 초로부터 말년에 이르기까지 공험(公嶮) 이남에서 삼척(三陟) 이북은 통틀어 동계라 일컬었다. - 『고려사』 제58권 「지리지」 3 동계

5) 경원도호부 관할지역 두만강 유역에서 북쪽으로 700리 공험진까지
두만강 경원 복호봉 북쪽으로 공험진에 이르기 700리, 동북쪽으로 선춘현(先春峴)에 이르기 700여 리를 관할이다. - 『세종실록』 「지리지」 함길도 길주목 경원도호부

『고려사』「지리지」 및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윤관의 9성은 원의 지배시대(1270~1356년)을 제외한 고려말 조선초까지 두만강 북쪽 700리 지역까지 그 범위를 잡았다. 세종때 김종서를 시켜 국토를 개척할 때에 목표가 이지역까지 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 스다 소키치(津田左右吉), 이나베 이와키치(稻葉巖吉) 등 일본인 학자들은 윤관의 9성을 함흥평야로 한정하여 설정하였다. 이 학설은 고려의 국력을 과소평가하려는 식민사관에서 출발하였음이 분명하다.
 
2. 대도독부등을 설치 간접통치

“고삐를 느슨하게 잡되 끈은 끊지 않는다” 뜻의 기미정책(羈縻政策)은 중국의 역대 왕조가 다른 민족에게 취한 간접 통치책이다. 이민족에게 무력을 쓰지 않고, 그 지역의 우두머리에게 중국의 관직과 물품을 주는 대신, 중국의 종주권을 인정하게 하는 게 핵심이다. 내정에는 관여하지 않고, 명목상으로 지배하는 것이다.

현재 중국의 소수 민족정책 역시 이러한 기미정책에 바탕을 두고 있다. 전형적인 형태는 당 나라로 명목상으로는 군현제를 채택하여 부주현(府州縣)을 두고, 외족의 추장을 도독 ·자사 ·현령· 대장군 장군 등에 임명하여 자치에 맡기고, 보호령으로서 도호부와 도독부등을 두어 감독하게 했다.

고려와 조선은 각각 함주대도독부등과 경원대호부를 두어 동만주를 간접 통치하였다.

1) 고려의 함주대도독부 등
동계의 안변도호부 이북에는 함주대도독부(咸州大都督府)와 북청주부(北靑州府) 갑주부(甲州府)를 설치했다.
함주대도독부는 오랫동안 여진이 기거하던 곳이다. 예종 3년(1108년)에 주를 설치해 대도독부로 삼았다. 큰 성을 쌓아 남계의 정호 1948호를 이주시켜 그곳을 채웠다. 공민왕 5년(1356년)에 옛날 영토를 수복하여 지함주사(知咸州事)라 했다.
북청주부는 오랫동안 여진이 기거하던 곳으로, 9성(城) 때에 명칭은 상세히 알 수 없다. 뒤에 원나라에 편입되어 삼산(三散)이라 불렀다. 공민왕 5년(1356년)에 옛 영토를 수복하여 안북천호방어소를 설치하였고, 〈공민왕〉 21년(1372년)에 지금 이름으로 고쳐 만호부로 했다.
갑주부는 본래 허천부로, 오랫동안 여진이 기거하던 곳으로 자주 전란을 겪어 사람이 살지 않았다. 공양왕 3년(1391)에 비로소 갑주(甲州)라 부르면서 만호부를 설치했다.
- 『고려사』 제58권 「지리지」 3 동계

함주대도독부와 북청주부 갑주부는 현재 지린성 전역, 헤이룽장성 중동부 이남, 연해주 지역으로 비장된다.

2) 조선의 경원도호부
옛 공주(孔州)로서 혹은 광주(匡州)라고도 칭하는데, 오랫동안 호인(胡人)에게 점거됐다. 고려의 대장 윤관이 호인을 몰아내고 공험진방어사(公險鎭防禦使)를 두었다. 본조 태조 7년 무인에 덕릉과 안릉이 있다고 하여 경원 도호부로 승격시키고, 성을 수축하기 위하여 땅을 파다가 인신(印信) 1개를 얻었는데, 그 새긴 글에 ‘광주 방어지인(匡州防禦之印)’이라고 돼 있었다. 태종(17년에 경성(鏡城)의 두롱이현(豆籠耳峴) 이북의 땅을 떼어서 다시 도호부로 삼고, 부가참(富家站)에다 목책을 세우고 치소(治所)로 삼았다. - 『세종실록』 「지리지」 함길도 길주목 경원도호부
 
3. 입조 귀순한 추장들에게 장군 품계등을 하사, 간접통치
여진의 대소 추장들은 고려를 ‘부모의 나라’라 하여 앞을 다투어 고려에 내조했다.
고려에서는 여진에게 비록 허직이기는 하지만 그 추장에게 관직을 주고 그 지역을 고려에 복속시켰는데 이곳을 '化內(화내)’라고 불렀다. 동여진족이 가장 많이 귀부해 온 고려 문종연간(1046~1083년)에는 이러한 기미 지역에 11주를 설치해 주기(朱記, 임명장)를 하사했다. 태조부터 공양왕까지 총 400회 동여진족의 내조와 귀순을 허가하고 품계를 하사했다.(1)* 

고려시대에 여진에게 향직의 관직을 주어 귀화를 시키고, 또 내조하는 추장들에게 고려의 대장군과 장군 품계를 내렸다.(2)*

동여진 장군들이 80명을 이끌고 내조하자 왕이 가상히 여겨 특별히 금과 비단을 하사하고 등급을 올려주었다. - 『고려사』 정종(靖宗) 9년 1043년 9월 16일(음) 경진(庚辰) ,

동여진의 수원장군(綏遠將軍) 다로대(多老大) 등이 내조(來朝)하였다.
- 『고려사』 세가 제8권 1063년 문종 17년 11월 27일(음)

동여진의 도령들이 귀부하며 고려 군현으로의 편입을 청하다 -『고려사 』 세가 제9권 1073년 문종 27년 2월 21일(음)

귀부해 온 동여진인들을 귀순주에 소속시키다. 한림원에서 아뢰기를, “동여진의 대란(大蘭) 등 11개 내부자(內附者)들이 11개 주(州)가 되기를 요청하니, 각각 주기(朱記)를 하사하고 귀순주(歸順州)에 소속시키십시오.”라고 하자, 이를 받아들였다. -『고려사 』 세가 제9권 1073년 문종 27년 9월 4일(음)


문종 때는 동만주에 살고 있었던 동여진이 대규모로 귀순하여 오자 11주를 설치하고 그 추장들에게 임명장 주기(朱記)를 주어 귀순주(歸順州)에 예속하도록 했다. 이러한 11주는 윤관이 설치한 9성의 지역과 일치된다.
 
4. 11세기 고려는 동만주를 직접통치
특히 문종 연간(1046~1083년)의 고려는, 동여진족 근거지 지역 경계를 조사·획정하고, 여진족 추장을 참형에 처하는 등 고려의 행정권 사법권을 직접 행사, 동만주를 직접 통치한 사실이 발견된다.

동여진의 두 촌락과의 경계선을 획정하게 하다, 유사(有司)에 명령하기를, “동여진 대걸라니촌과 소걸라니촌의 경계를 조사, 확정하여 적의 침입에 대비하라.”라고 하였다.
-『고려사』 제7권 1050년 (문종 4년) 4월 27일(음)

동여진 유원장군(柔遠將軍) 사복하 등 2인을 참형에 처했는데, 일찍이 삭주(朔州)의 사람과 물건을 약탈하였기 때문이다.-『고려사』 제7권 1056년(문종 10년) 12월 9일(음)

내조한 여진인의 체류기한을 보름으로 하다. 동여진 추장 진순(陳順) 등 23인이 와서 말을 바치자, 제서(制書)를 내려 이르기를, “무릇 번인으로 내조한 자는 개경에 체류하는 것이 15일을 넘지 않도록 하고, 아울러 사관(私館)에서 떠나도록 하는데 이것을 영구한 법규로 삼으라.” 라고 하였다. - 『고려사』 제7권 1050년 (문종 35년) 5월 3일(음)

 
5. 여진은 옛날부터 고려에 속했다.
흑수말갈은 숙신땅에 거하였는데 산이 있는데 백산이라고 한다. 대개 장백산이라고 한다. 금나라가 발원한 곳으로 여진이 옛날부터 고려에 속해있었다.
黑水靺鞨居古肅慎地,有山曰白山,蓋長白山,金國之所起焉。女直雖舊屬高麗
당나라초기에 말갈은 속말과 흑수양부로 나뉘어져 있었는데 고려에 신하로 속해있었다.
唐初,靺鞨有粟末、黑水兩部,皆臣屬於高麗
-『금사』 제135권 열전 제73 외국하 고려전

 
6. 용천과 갈라전은 지금의 송화강~목단강-연해주

1)요 나라 황제가 말하길 고려의 북쪽 경계는 용천에, 서쪽 끝 경계는 압록에 달했다.
北抵龍泉, 西極鴨綠 [고려사』 1198년(예종2년) 1월 18일


당시 용천은 단 한 군데뿐, 송화강 중류 발해 수도 상경 용천부 부근이다.

2. 고려는 사람을 보내어 그들을 살해하고 갈라전(曷懶甸)으로 출병시켜 9성을 쌓았다
- 『금사』 135권 열전 73, 외국하 고려전


갈라전은 윤관이 9성을 설치할 때 금의 아골타와 쟁탈전을 벌였던 지역이다.
갈라전은 만주의 동부지역 일대의 송화강松花江(혼동강 混同江)유역과 목단강(牧丹江)이동의 넓은 연해주까지 이르는 광활한 지역을 가리킨다. 원의 통제가 미치지 못하였다.


◇◆◇◆◇◆◇◆주석

(1)* 『동북여진 고려 귀순· 내조 횟수』 총400회
태조(918~943년) 1회, 정종(945~949년)1회, 목종(997~1008년)1회, 현종(1009~1031년) 67회, 덕종(1031~1034년) 31회, 정종(1034~1046년) 71회, 문종(1046~1083년) 116회, 선종(1084~1094년) 15회, 헌종(1094~1095년) 2회, 숙종(1095~1105년) 31회, 예종(1105~1122년) 24회, 인종(1122~1146년) 6회, 의종(1146~1170년) 2회, 명종(1170~1197년) 3회, 고종(1213~1259년) 16회, 원종(1259~1274년) 1회, 공민왕(1351~1374년) 9회, 공양왕(1389~1392년) 3회, 합계 400회

(2)* 고려에서 여진에게 준 장군품계는 平遠大將軍·寧遠大將軍·寧塞大將軍·奉國大將軍·柔遠大將軍·懷化大將軍·歸德大將軍, 綏遠將軍·寧遠將軍·寧塞將軍·懷遠將軍·奉國將軍·柔遠將軍·懷化將軍·歸德將軍 등이다.

◇◆◇◆◇◆◇◆참고문헌

-​『고려사』, 『고려사절요』, 『세종실록』 「지리지」, 『金史』
-정약용,『아방강역고』, 안정복,『동사강목』 「9성고」
-방동인,「윤관9성재고-9성설치 범위를 중심으로-」『백산학보』21, 1976
-김구진, 「공험진과 선춘령비」, 『백산학보』21, 1976.
池內宏,「完顔氏の曷懶甸經略と尹瓘の九城の役」『滿鮮地理歷史硏究報告』9, 1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