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차도 미·중 전쟁…뒤에서 지원하는 美 vs 앞에서 끌어주는 中
2020-10-14 08:00
발표 당시만 하더라도 '시기상조'라는 회의적 시선이 적지 않았다. 그도 그럴 것이 현재 2단계 수준인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술이 한 번에 2~3단계를 뛰어넘는 '기술적 퀀텀점프'를 이루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가 약속한 날짜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현실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일론 머스크는 트위터를 통해 "일부 고객을 대상으로 리미티드 FSD 베타 버전을 20일 내놓겠다"고 12일(현지시간) 밝혔다.
현재 자율주행차 1위 국가는 단연 미국이다. 미국은 '연방 자동차 안전기준' 요건만 충족하면 차량을 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네거티브 규제 방식으로 기업 지원에 나서고 있다.
전세계에서 처음으로 정부가 자율주행차의 기술 혁신과 안전 확보를 위한 권고사항을 만들어 민간에 제시했다는 점도 의미가 있다.
눈에 띄는 점은 중국 바이두가 4위를 차지했다는 점이다. 중국 스타트업 포니닷에이아이와 알리바바그룹이 투자한 스타트업 오토엑스, 차량 호출기업 디디추싱도 그 뒤를 바짝 쫓고 있다.
미국이 최첨단 기술력을 갖춘 글로벌 기업을 뒤에서 지원하고 있다면, 중국은 규제를 풀고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는 방식으로 기업의 기술 개발을 뒷받침하고 있다.
베이징시 정부는 바이두에 자율주행 택시 시범운행 면허를 발급했다. 수도이자 문화 중심지인 베이징에서 첫 허가가 나온 만큼 중국 내 자율주행차 보급이 벌써 가시권에 들어온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상하이, 창사 등 다른 지방정부에서도 일반인을 대상으로 자율주행차 시승 실증시험을 지원하고 있다.
올 4월에는 중국 교통운수부가 707억 위안(약 12조원)을 투입해 항저우와 닝보를 잇는 161㎞ 길이의 스마트 고속도로 건설에 착수했다. 이 고속도로에는 5G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와 자율주행차 전용 관제탑 등이 설치돼 차량과 도로, 통제 센터 간 초고속 통신이 가능하다.
중국 정부는 친환경 정책 일환으로 현재 5% 미만에 불과한 전기차 보급률을 2025년엔 25%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목표가 현실화되면 2025년 공급량은 500만대 이상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