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호 시장 "박달스마트밸리 사업 성공적 추진 스마트도시로 우뚝 설 것"

2020-06-23 19:30
박달스마트밸리 조성사업 본격화...청신호 켜져
국방부 박달동 탄약시설 이전협의 통보해와

[사진=안양시 제공]

최대호 경기 안양시장이 23일 "박달스마트밸리 조성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 박달동 일원을 첨단산업 복합단지로 조성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 해 스마트도시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피력했다.

이날 최 시장은 만안구청 강당에서 열린 박달동 일원 탄약시설 지하화와 서안양 친환경융합 스마트밸리 조성에 따른 보고회에 참석, "국방부로부터의 기부대양여 이전 협의 통보는 박달스마트밸리 사업을 위한 첫걸음"이라면서 이 같이 밝혔다.

기부대양여는 공익사업 시행으로 군부대의 이전 등이 필요한 경우, 해당 공익사업 시행자(지자체)가 대체시설을 기부하고, 국가가 공익사업 시행자에게 기존 부지를 양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보고회는 지난 15일 국방부로부터 박달동 탼약시설 이전협의 통보에 따라, 마련됐다.

박달스마트밸리 조성사업은 박달동 일원의 대규모로 분포된 군사시설을 ICT기술을 접목한 지하형 탄약저장시설을 만들어 가용토지를 확보하고, 그 곳에서 4차 산업혁명을 선도, 친환경 산업을 육성, 일자리 창출 등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켜 안양을 지속가능한 도시로 발전시킨다.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획기적인 사업이다.

박달스마트밸리 조성사업은 민선7기 최 시장 공약사업임과 동시에 문재인 대통령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포함돼 있으며, 이재명 경기도지사 공약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를 위해선 청와대와 기획재정부, 국방부, 국토부 등 중앙정부·경기도, 안양시의 유기적이고 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

시는 2018년 10월 4일 탄약시설 지하화 이전 협의요청 및 건의서를 국방부에 제출했고, 12월 14일 안양시와 국방부, 국방부 산하 각 군부대가 공동협의체를 꾸려 이전 제안에 대해 수차례 면밀한 협의를 진행해왔다.

공동협의체 회의 시 국방부로부터 안양시의 이전 제안에 대해 보완 의견이 제시됨에 따라, 시는 제안서 보완을 위해 국내 군사분야 최고 연구기관 중 하나인 육군사관학교 산학협력단에 용역을 발주했다.

이후 각 군부대·육군본부, 국방부와 적극적인 협의를 거쳐 쟁점사항을 조율한 결과, 지난 6월 15일 이전협의 통보를 받음으로써, 첨단산업 및 주거단지를 건설할 수 있는 분수령을 마련하게 됐다.
 

박달스마트밸리 위치도.[사진=안양시 제공]

시는 이 사업의 목표로 세 가지 청사진을 제시했다.

먼저 다양한 신기술이 적용되는 데이터 중심의 스마트 시티이다. 박달스마트밸리 곳곳에 생성된 데이터를 초연결․융합, 첨단 AI를 활용해 가치있는 데이터를 만들고 시민, 기업, 기관 누구나 데이터를 쉽게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시민과 민간 주도의 친환경 스마트생태도시다. 시민들이 직접 참여해 에너지와 환경 문제 제로를 위한 의견을 모으고 민간기업의 친환경 개발 아이디어를 접목해 스마트기술과 자연이 어우러진 도시를 구상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류문화와 예술을 선도하는 새로운 K-ART CULTURE의 중심이다. 영화, 드라마, 가요 등 예능 문화가 모이고, 이 곳에서 시작된 K-ART CULTURE를 세계인이 보고 즐기며, 한류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한다는 것이다.

이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군사시설 이전 사업의 매우 우수한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국유재산 효율화를 통한 지역활성화와 국가경쟁력 강화, ‘국방개혁 2.0’에 부합하는 대표 사업,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상호 협력을 통한 상생발전을 도모하게 된다.

향후 시는 국방부와 기부대양여 합의각서(안)를 마련하고, 기획재정부 심의를 거친 후 합의각서를 체결,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할 방침이다.

합의각서가 체결되면, 시에서는 사업시행자 지정 요청, 기본설계 및 실시계획 승인 등 행정절차를 거쳐 오는 2027년 완료할 예정이다.

안양시에서 시행한 용역결과, 이번 사업은 탄약시설 지하화 비용을 포함 양여부지 조성을 위한 추정 총사업비가 1조3000억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총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약 6조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1조 9000억원으로 약 7조 9000억원으로 예상되며, 고용창출효과도 직접 취업유발인구 5000명을 포함 약 4만 2000명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