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해수부 “포스코, 물류자회사 설립 위법 아니지만 예의주시중”

2020-06-18 10:35
김준석 해운물류국장, 본사 주최 ‘해양금융 발전방안 조찬 간담회’서 입장 밝혀

“포스코의 물류자회사 설립은 위법사항은 아니다. 하지만 실제 어떤 목적을 가지고 진출하는 지 예의주시할 계획이다.”

김준선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장은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아주뉴스코퍼레이션 주최로 열린 ‘해양금융 발전방안 조찬 간담회’에 참석해 “포스코의 해운물류업 진출은 정부의 제3자 물류기업 육성 정책에 부합하지 않는 일”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준석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장이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해양금융 발전방안 조찬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해운물류업 정책을 총괄하는 해양수산부가 포스코의 물류자회사 설립에 대해 탐탁치 않다는 생각을 분명히 드러낸 것이다. 해수부 고위관계자가 공식적인 자리에서 이런 입장을 밝힌 것은 사실상 처음이라, 포스코의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앞서 포스코는 지난 5월 물류통합 운영법인 ‘포스코GSP(Global Smart Platform)(가칭)’ 설립을 결정, 연내 출범을 예고한 상태다. 포스코는 지난해만 1억6000만톤의 철광석·석탄 등 원자재와 제품을 거래한 초대형 화주로, 포스코 본사와 포스코인터내셔널·SNNC(니켈 제련 회사)·포스코강판 등에서 약 3조원의 물류 비용을 쓰고 있다.

포스코가 밝힌 신설 물류법인의 위상은 포스코의 물류 부문을 통합한 ‘글로벌 스마트 플랫폼’이다. 포스코와 그룹 내 계열사의 원료·제품 수송 계획 수립과 운송 계약 등 물류 서비스를 통합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시너지를 높이겠다는 그림이다.

하지만 해운업계는 포스코가 일단은 물류주선업으로 시작하지만 해운업으로의 진출로 귀결될 것이라고 본다. 코로나19 여파로 해운 물동량이 급감한 가운데 새로운 해운물류업체가 생기면서 한정된 물량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란 위기감도 한몫을 한다. 궁극적으로 포스코의 물류자회사 설립이 기존 제3자 물류기업의 성장을 저해, 물류생태계를 교란시킬 것이란 우려다.

이에 한국해양산업총연합회(한해총)는 지난 4월말 청와대와 정부, 국회에 포스코의 물류 자회사 설립을 반대하는 청원서서를 제출했다. 또 최정우 포스코 대표이사와 사외이사에게 우리나라 해운·물류생태계 보전과 상생발전을 위해 물류자회사 설립계획을 전면 철회해달라는 건의서도 냈다.

한해총은 건의서를 통해 “포스코의 물류자회사 설립은 결국 해운업 진출로 귀결돼 해운산업 생태계를 취약하게 만들 것”이라며 “한국전력이나 가스공사와 같은 다른 대량화주가 해운물류산업에 진출하는 빌미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포스코는 해운업 진출은 없다고 못박은 상태다. 그러면서 신설 물류법인은 기존 물류파트너사들과 함께 사업기회를 발굴하고 일자리 창출도 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 측은 “신설 물류법인은 기존 그룹내 분산 운영되고 있던 계약관리 기능을 기존 계약조건 그대로 이관하는 일이므로, 거래 상대방이 되는 물류파트너사들의 계약 및 거래 구조는 변동사항 없다”면서 “물류법인 출범은 국내 물류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것이 아니라 경쟁력과 일자리를 키우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럼에도 해수부는 포스코의 행보를 예의주시하겠다는 입장이다. 김 국장은 “포스코는 쉽게 말해 해운선사들이 운송 일감을 따내야 하는 화주”라면서 “화주가 물류자회사를 설립하는 것이 현행법상 불법은 아니며 절차적으로도 문제는 아니다. 하지만 궁극적인 의도가 무엇인지 면밀히 살필 필요가 있어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해운업계가 강하게 반발하는 상황에서 포스코가 보다 적극적으로 업계와 대화를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국장은 “국내 해운기업은 대부분 1인 오너기업으로 자본력이 약하다”면서 “이런 가운데 막대한 자금을 확보한 포스코 같은 대기업이 물류자회사를 설립하면서 결국 ‘승자독식’이 될 것이라고 걱정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포스코가 업무효율을 위해 물류자회사를 설립하려는 것인지, 아니면 과감한 비용절감, 그밖에 다른 의도가 있는 것인지 업계가 의심하고 있다”면서 “여러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포스코가 적극적으로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