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기습 초청’에 응한 文…시진핑 연내 방한 무산되나(종합)

2020-06-02 01:07
양국 사이서 진퇴양난…‘코로나 방역 세일즈’에 일단 ‘올인’
미·중 갈등 속 중국 설득 여부 관건…대중 관계 악화 우려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자신을 초청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제안에 응하면서 한·중 관계가 또다시 미궁에 빠졌다.

특히 청와대와 정부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연내 방한’에 공을 들이고 있는 상황에서 문 대통령의 선택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이른바 ‘신냉전’으로 불리고 있는 미·중 무역갈등의 골이 깊어지는 국면에서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에 하루 만에 화답했다.

더구나 상대국 초청과 관련해 사전 통보도 받지 못한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깜짝 초청’에 응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각) G7 정상회의에 회원국이 아닌 한국, 러시아, 호주, 인도 등 4개국을 초청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열린 첫 민간 유인우주선 발사 참관 뒤 백악관으로 돌아오는 전용기에서 기자들에게 G7의 대표성에 의문을 나타내며 한국을 비롯한 4개국 초청 의사를 밝힌 바 있다.

◆文 대통령 “G7 초청, 환영·감사…기꺼이 응할 것”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9시 30분부터 15분간 이뤄진 한·미 정상통화에서 G7 확대 정상회의 개최 방안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설명을 들은 뒤, 관련 내용을 논의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에서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통화에서 “G7이 낡은 체제로서 현재의 국제정세를 반영하지 못한다”면서 “이를 G11이나 G12 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 중에 있다”고 문 대통령의 의견을 구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올해 G7 정상회의 주최국으로서 한국을 초청해주신 것을 환영하고, 감사드린다”면서 “나는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에 기꺼이 응할 것이다. 방역과 경제 양면에서 한국이 할 수 있는 역할을 다하고자 한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G7 체제는 전 세계적 문제에 대응하고 해결책을 찾는 데 한계가 있다”면서 “G7 체제의 전환에 공감하며 G7에 한국과 호주, 인도, 러시아를 초청한 것은 적절한 조치”라고 말했다.

올해 G7 정상회의 의장을 맡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회원국의 반대가 없으면 원하는 나라를 초청할 수 있다. 다만 초청 국가는 의결권이 없다.

양국 정상은 G11 이외에 브라질을 포함시켜 G12 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강 대변인은 전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좋은 생각”이라며 “그런 방향으로 노력을 해보겠다”고 말했다고 강 대변인은 전했다.

◆‘포스트 코로나’ 이정표 등 K방역 홍보에 무게추

문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계를 의식하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을 수락한 배경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한층 주가를 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국격을 높일 절호의 기회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올해 G7이 확대 형태로 ‘대면 확대정상회의’가 개최되면 ‘포스트 코로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면서 “적절한 시기에 대면 회의로 성공적으로 개최된다면 세계가 정상적인 상황과 경제로 돌아간다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해외 각국 정상으로부터 그동안 개방·투명·민주라는 3원칙을 바탕으로 ‘K방역’이라는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문제는 중국의 반응이다. 미국과 더불어 중국은 우리의 주요 교역 상대국으로 정치·외교적으로 중요한 국가다. 지난해 기준 한국 수출 가운데 대중(對中) 수출 비율이 25.1%로 1위, 대미(對美) 수출 비율은 13.5%로 2위였다.

문 대통령은 통화에 앞서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주재한 제6차 비상경제회의에서도 “더욱 심해지는 자국 중심주의와 강대국 간 갈등이 우리 경제에 적잖은 부담”이라고 고충을 토로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의 이 발언은 코로나19 사태 책임론에 이어 홍콩 국가보안법 문제를 놓고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깊어지는 데 대한 것을 언급한 것으로 해석됐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 상황이 길어지면서 세계경제 위기가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면서 “바닥이 어딘지, 언제 경기가 반등할지 전망조차 쉽지 않다”고 우려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