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코로나 산업전략②] 6차까지 진행한 산업전략…위기는 '기회'

2020-06-02 08:00
철강, 바이오, 섬유, 건설 등 다뤄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차원에서 시작한 산업전략 대화는 어느덧 6차례나 진행됐다. 큰 틀에서 글로벌공급망(GVC)의 재편과 세계적 산업‧경제 질서의 대응책을 고심했으나 각각의 회의에서는 산업별로 뜯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대부분의 산업의 위기 상황에서 정부는 새로운 기회를 엿봤다.

2차 대화까지는 소재부품에 관한 현실을 짚어봤다. 이는 반도체 산업을 특정한 것이 아니라 소재의 독립정도를 파악하며 산업 여건을 둘러본 것에 가깝다.

3차 대화부터는 철강산업, 이어 4차는 바이오산업을 다뤘고, 5차에서는 섬유패션산업, 6차는 건설기계 산업의 돌파구를 고민했다.

철강업계와의 대화에서는 철강산업이 자동차와 조선 등 주요산업과 연관이 큰 만큼 유동성 지원확대 요구가 핵심이었다. 이번 코로나 사태로 인해 주요 산업의 철강 수요가 함께 급락했고 수출 급감으로 유동성 위기에 처해서다.

4차 바이오산업의 전략대화에서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지원과 K-방역의 국제 표준화를 추진이 주로 논의됐다. 또한, 규제개선을 통한 신시장 창출과 바이오산업 혁신생태계 조성 등 미래산업으로의 구축을 구상했다.

섬유패션업계의 화두는 유동성 위기 해소를 위해 특별고용지원업종의 지정이 되는 것이다. 이는 고용 사정이 급격히 악화될 우려가 있는 업종을 정부가 지정해 사업주와 근로자에게 각종 지원을 해주는 제도다. 또한 정부에서는 섬유패션업계를 살리기 위해 수요·공급기업간 연대·협력 강화 및 경쟁력 고기능성 의류 기술개발 등을 청사진으로 그렸다.

건설·기계 부문을 두고 의견를 나눴던 6차 산업 전략대화에서는 업계의 현재 어려움보다 미래에 더 초점을 맞췄다. 코로나로 인해 현재 건설관련 수요가 급감했지만,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새로운 기회가 열릴 것으로 봤다. 특히 민관 합동으로 '건설기계 수출지원 TF'를 구성해 수출단계별 맞춤 지원을 하겠다고 정부는 밝혔다.

정부는 지난달 6일부터 26일까지 20일 간 약 6회의 산업전략 대회를 나눴다. 이 과정에서 각 산업의 어려움을 짚어본 동시에 한국산업의 미래 방향성도 꾸준히 고민한 후 방향성을 제시했다.

세계의 석학들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포인트로 총 7가지를 제시했다. △바이러스와의 전쟁 △세계 경제의 지역화·분절화 △비대면 경제 본격 활성화 △저유가 기조 장기화 △효율 중심주의 후퇴 △상호 의존하는 사회 △정부역할 확대 등이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5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철강업체 최고경영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제3차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대화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