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너지 수소경제①] 포스트코로나 커지는 수소경제 입지
2020-05-29 08:00
지난해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수소경제 박차
최근 포스트코로나 국면에서 그린뉴딜과 친환경 관련 이슈가 급부상하고 있다. 이에 기존에 야심차게 정부에서 추진 중인 수소경제 활성화에도 관심이 쏠린다.
정부는 지난해 1월 수소경제 활성화를 표방하며 수소경제 인프라 구축에 열을 올렸다. 글로벌 에너지 활용의 중심이 화석연료에서 친환경으로 이동하면서 잠재량이 무한한 청정에너지인 수소에 모두가 주목하고 있는 것.
수소경제의 중심은 수소차가 차지하고 있다. 수소차는 전기자동차보다 발전된 개념으로 평가받는다. 원리는 수소를 충전해 공기 중 산소와 결합으로 전기를 발생시킨다. 특히 수소차는 전기차보다 충전이 쉽고 주행거리가 길다는 장점도 있다.
초기 국내 자동차 업계에서는 주행거리 등 기술력에서 어려움을 보였으나 현재는 이 부분도 상당히 개선되고 있는 상태다.
정부는 지난해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며 수소경제에 박차를 가했다.
골자는 2025년까지 수소차 생산을 10만대로 늘리고, 2040년에는 620만 대까지 생산을 확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양 축으로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특히 주요 도시에 보급사업과 공공부문 버스를 수소 버스로 차츰 전환할 예정이다. 지난해 수소차 관련 예산은 1421억원으로 전년 대비 668% 높게 책정됐다. 수소차의 보급과 수소가스 충전소도 꾸준히 늘릴 계획이다.
더불어 2022년까지 수소 산업에서 한국 기술로 5건의 국제표준을 만들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이는 표준선점을 통해 세계시장을 선도하겠다는 구상이다.
실제로 소기의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올해 1월 한국은 일본 등 경쟁국을 제치고 수소차 글로벌 판매 1위, 수소충전소 최다 구축, 연료전지 최대 발전시장이라는 성과를 거뒀다.
수소경제를 뒷받침할 제도와 규제도 정비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말 '수소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했고 이어 세계 최초로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안전관리법'을 제정했다.
또한 경제성 있는 수소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수소차·충전소·연료전지 핵심 부품의 국산화율을 높여 비용을 절감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생산방식을 개발하면서 거점형 생산기지를 구축해 효율적·체계적 수소 공급망을 마련한다는 구상도 있다.
마지막으로 수소 경제의 미래를 고려해 관련 정책을 총괄·조정하는 기구인 '수소경제 추진위원회'도 구성했다. 이 기구는 수소관련 산업 진흥, 안전, 유통 전담기관을 지정해 안정적으로 산업을 지원한다. 수소관련 전담 기구를 통해 사회의 구석구석 수소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계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