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유료방송 시장재편, 시장 공정성 바로잡는 계기돼야

2020-05-15 17:45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지난해 유료방송시장 조사결과를 둘러싸고 업계의 이목이 쏠렸다. 사상 처음으로 IPTV(인터넷TV)가 전체 유료시장의 절반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이동통신 계열사들만 놓고보면 시장점유율은 총 80%에 달했다.

유료시장의 판세는 이미 2017년부터 IPTV 업계로 기울었다. 가입자 수 격차는 2017년을 기점으로 매년 커졌다.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가입자 수는 이미 약 365만명이 벌어졌다. 케이블TV 가입자 수는 줄었지만, IPTV 가입자는 꾸준히 증가했다.

가입자 증가와 함께 IPTV사업자의 몸집도 커졌다. 지난해 LG유플러스는 CJ헬로비전을, SK브로드밴드는 티브로드를 인수했다. 이 결과 IPTV사업자들은 케이블TV를 함께 운영하게 되면서 800만명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한 초대형 유료방송사가 됐다. 올해는 케이블TV 사업자인 현대 HCN과 딜라이브도 인수합병의 물망에 올랐다.

업계 재편과 함께 PP(방송채널사용사업자)업계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고 한다. 채널과 프로그램을 유료방송사에 공급하는 사업자인 PP들은 시장 구조상 유료방송 사업자보다 협상력이 열위에 놓여있다. 게다가 최근 과기정통부도 유료방송 채널 정기개편 가능 횟수를 연 1회에서 2회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하면서 이들의 불안감은 증폭됐다.

PP들도 목소리를 내지 않은 것은 아니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산하 PP협의회는 지난 7일 과기정통부에 유료방송 시장 활성화(PP사업자 보호) 의견서를 제출하고 유료방송 사업자들이 임의로 채널을 변경하는 권한을 제한해달라고 요구했다.

현행법은 유료방송사들이 연 1회에 한해서만 채널을 개편할 수 있다. PP입장에선 유료방송들이 자사 채널번호가 자주 바뀌면 시청자들이 이탈할 수 있어 불이익을 받게 된다. 반면 IPTV 등 방송사업자들은 채널 편성자유권은 고유의 권한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업계 의견이 엇갈리자 최근 과기정통부는 채널개편작업을 올해 하반기로 미뤘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사업자 간 의견이 엇갈리고, 특히 PP업계에서 반발이 커 충분히 논의하기 위해 시한을 연기했다"고 설명했다.

이왕 충분한 의견 수렴을 이유로 논의 일정을 미룬 만큼, 이번 기회를 유료방송 시장 질서 전체를 바로잡는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 새로 출범한 IPTV 사업자가 미디어 사업 경쟁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중소PP업계가 피해를 보는 일은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유료방송 시장 사업자 간 시너지 효과를 내고 경쟁력을 확보할 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사진=차현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