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금융, 정부 인정 반년만에 연체율 악화

2020-05-15 05:00
올 들어 16.2%…작년말 대비 4.8%p 상승
부동산규제에 코로나19까지 엎친 데 덮쳐
사태 장기화땐 투자자 손실 등 신뢰 위기

지난해 11월 'P2P 금융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17년 만에 정부가 허용한 새로운 금융업 탄생을 알렸다. 그러나 정부로부터 인정받은 지 반년 만에 P2P 금융업이 위기에 놓였다. 최근 경기 침체로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향후 투자자 손실은 물론이고 새로운 금융업에 대한 신뢰 자체가 추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P2P 업체 144개사의 연체율은 최근 16.2%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11.4% 수준이었던 연체율은 올해 들어 갑작스레 4.8% 포인트 상승했다. 

P2P 대출은 불특정 다수 투자자의 돈을 모아 자금을 원하는 개인이나 법인에 대출하는 방식이다.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낮아 은행을 이용하지 못하는 차주는 대부업체보다 낮은 금리에 돈을 빌릴 수 있다. 투자자는 위험이 다소 있으나 다른 투자처보다 훨씬 나은 수익률을 추구할 수 있다. 

이 같은 P2P 금융은 '중위험·중수익'을 노린 투자자를 끌어모으면서 급격히 몸집을 불렸다. 2017년 말 8000억원 수준에 불과했던 P2P 대출 잔액은 올해 2월 말 기준 2조4000억원으로 3배 늘어나는 데 성공했다. 아울러 지난해까지는 중위험이라는 인식에 걸맞게 연체율도 10% 안팎에서 관리돼 왔다. 

그러나 올해는 연초부터 연체율이 급상승하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정부 규제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된 탓이다. P2P 대출 상당수가 부동산 시장 혹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몰리다 보니 부동산 경기 위축의 영향을 정면으로 받았다. 

설상가상으로 2월부터 코로나19 확산으로 경기가 침체된 것도 연체율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전체적인 리스크가 높아지면서 상당수 대출에서 연체가 발생하고 있다. 

이 같은 문제가 겹쳐 업계를 대표하던 대형 P2P 업체가 부도를 내기도 했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지난 3월 P2P 대출에 대해 소비자경보를 발령하기도 했다. 

문제는 코로나19 확산 탓에 경기 위축 장기화가 예상되면서 P2P 대출 연체율도 앞으로 더 높아질 것으로 관측된다는 점이다. 앞으로 대규모 소비자 피해가 겹칠 경우 17년 만에 새로운 금융업으로 인정받은 P2P 금융업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금 수준의 연체율은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상당히 우려스럽다"며 "신규 산업이라 고객 기반이 넓지 못한 탓에 평판과 신뢰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금융당국과 업계의 신중한 관리·감독이 필요한 시점 같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