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장기화‧재유행, 백신개발이 해답…"전방위적인 노력 필요"

2020-05-05 15:14
해외 국가보다 속도 더뎌…지원 필수

코로나19가 장기화되고, 다수 전문가들이 2차 대유행을 예고하면서 전 세계가 백신 개발에 뛰어들었다. 특히, 코로나19가 인플루엔자(독감)처럼 계절성 감염병이 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면서 백신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지난달 문재인 대통령이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한국파스퇴르연구소를 방문한 뒤 “백신·치료제 개발은 반드시 넘어야 할 산”이라며 코로나19 백신 개발 등에 21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히자 국내 코로나19 백신 개발에도 탄력이 붙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는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SK바이오사이언스, GC녹십자, 보령바이오파마, 제넥신, 스마젠, 지플러스생명과학 등이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나섰다. 다만 해외국가에 비해 속도는 느리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로 동물 효력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유전자 재조합기술을 이용해 제작한 항원(인체에 투여해 면역력을 위한 항체를 형성하게 하는 물질)을 여러 형태의 단백질 배양과 정제 플랫폼을 거쳐 백신 후보물질로 확보했다.

GC녹십자는 질병관리본부 코로나19 국책과제 공모를 통해 백신 개발에 나섰다. 코로나 바이러스 표면에 생기는 단백질 중 후보물질을 발굴해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생산하는 ‘서브유닛 방식’을 추진 중으로, 아직 후보물질 발굴 단계에 머물러 있다.

제넥신은 국제백신연구소와 제넨바이오·한국과학기술원(KAIST)·포항공대(포스텍) 등과 함께 7월 임상 개시를 목표로 DNA 백신을 개발 중이며, 보령바이오파마는 해외 제휴사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1상을 완료한 백신을 이용해 코로나19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복수 전문가들은 대한민국이 전 세계적으로 방역 우수 사례로 인정받고 있는 만큼 백신 개발에서도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정부의 전방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정기석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 내과 교수(전 질병관리본부장)는 “백신개발에 속도가 날 수 있도록 정부의 빠른 허가 절차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백신개발에는 몇 천억의 투자비용이 드는 만큼 국가의 도움이 필요하다”며 “백신을 개발해도 이것이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에 대한 불안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정부가 이를 돕고, 백신이 개발되면 기업이 다시 국가에 기여하는 기부채납방식 등의 방법도 고려할 만하다”고 말했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백신마다 다르긴 하지만 과거엔 1조원, 최근엔 2조5000억원이 든다고 하는 만큼 전문가‧기술력 등 인프라가 있는 기업(나라)에서 빨리 나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백신 개발이 속도전에 돌입했다고는 하나 안전성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빠르면 올해 안에 백신이 개발될 수 있겠지만, 이것이 시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며 “임상3상까지 마치려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완성품이 올해 내에 나오는 것은 물리적으로 힘들다”고 말했다.

김 교수도 “A형 대상포진 등은 백신 개발이 손쉬웠으나, 에이즈처럼 성공하지 못한 백신도 있는 것처럼 병원체마다 성격이 달라 백신 개발에는 불확실성이 있다”며 “백신 개발을 위해 모두가 노력하고 있으나, 시간을 단축하는 부분은 윤리적‧안전적인 문제가 있다는 것도 인지해야 한다”고 전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