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캐피털사로 전염된 코로나19

2020-04-07 05:00
소상공인·중기 주고객…기반 취약
여전채 등 발행 두달새 90% 줄어
이달 만기 기타 금융채만 3.9조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금융사에서도 위험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자금시장이 경색되고 실물경기가 위축되면서 금융사로 위험이 전이되고 있는 것이다. <관련기사 3면>

특히 금융권에서 가장 규모가 작고 사업기반이 취약한 여신전문사에서 가장 먼저 유동성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정부는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 등 안전판을 마련했지만, 매입 조건을 놓고 금융사와 갈등을 벌이고 있어 제때 유동성 위기를 방지할 수 있을지는 확실하지 않다.

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여신전문금융회사채(여전채) 등이 포함된 기타 금융채는 지난달 2410억원이 순발행됐다. 이는 지난 1월 2조2250억원 순발행된 것에 비하면 90%가량 줄어든 수준이다.

카드·캐피털사 등 여전사는 자체적인 수신기능이 없어 채권으로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 자금시장이 코로나19로 급격히 경색되면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실물경기 위축으로 여전사의 주요 고객층인 소상공인·중소기업에 대한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는 탓이다. 이들 차주가 부실화되면 여전사의 건전성도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 때문에 상당수 기관투자자들이 1월까지 큰 고민 없이 투자해왔던 여전채에 대해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추가로 최근 정부가 여전사 등 2금융권에도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상 원리금 상환 유예 및 만기 연장 조치를 주문했다. 여전사 입장에서는 당장 빌려준 돈을 받을 수도 없어 돈 구할 곳을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여전사들은 정부의 채안펀드를 동아줄 삼아 바라보고 있다. 채안펀드가 나서 여전채를 매입해 준다면 다소 숨통이 틔는 동시에 얼어붙은 투자심리도 해소되지 않을까 기대를 하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지난 2일 공식 출범한 채안펀드가 명확한 가이드라인 없이 내부 논의를 반복하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채안펀드는 최근 여전채 매입과 금리 수준 등에 대해 논의했으나 우선 결정을 보류했다.

당초에는 시장보다 낮은 금리로 사들여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으나 펀드 출자자 측에서 이에 제동을 건 탓이다. 이에 대해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6일 "시장에서의 조달을 유도하기 위해 금리 등에서 시장보다 좋은 조건을 제시하기는 어렵다"고 못을 박았다. 결국 금리 기준 등을 확정해 조만간 여전채 매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골든타임이 지나가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채안펀드가 공회전을 반복하는 사이 여전사는 대규모 회사채 만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달 만기 예정인 기타 금융채의 규모는 3조9338억원으로 정부가 우선 조성한 채안펀드 10조원의 40%에 가깝다. 이후 5월부터 연말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기타 금융채는 27조1804억원으로, 정부가 조성한 채안펀드의 전체 물량보다 더 많은 규모다.

금융권에서는 채안펀드가 혼자서 모든 것을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라 하루빨리 나서 시장의 투자심리 해소에 기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시간이 지연돼 자칫 여전사에 더 큰 유동성 위기가 부각될 경우 시장이 더욱 경색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어차피 채안펀드 물량으로 시장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라 발빠르게 시장의 투자심리를 회복해줄 수 있도록 움직여야 한다"며 "최근 채안펀드는 시장의 안전판이라면서 너무 몸을 사리고 있는 것이 아닌지 의문스럽다"고 말했다.

 

[사진=현대캐피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