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포비아 확산세] ①코로나19보다 무섭다...전 세계가 韓 바이러스 취급
2020-03-04 07:05
코로나19 확산으로 韓 기피 확산
발원지 中 버금가는 수모 잇달아
3일 한국發 입국 금지만 37개국
외교당국, 비판 면하기 어려울듯
"사태 대응에 정치적 고려 많아"
발원지 中 버금가는 수모 잇달아
3일 한국發 입국 금지만 37개국
외교당국, 비판 면하기 어려울듯
"사태 대응에 정치적 고려 많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최근 국내에서 빠르게 확산하면서 한국에 대한 전 세계인의 기피가 나날이 심해지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초기 방역 모범국가로 여겨졌던 시절이 무색할 정도로 한국이 발원지인 중국에 버금가는 여러 수난을 잇달아 겪는 상황이다.
한국민이 해외 공항에서 예고 없이 문전박대를 당하거나 격리 조치되는 등 황당한 사태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외교 당국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 역시 높아지고 있다.
3일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기준 한국발(發) 입국을 금지한 국가는 총 37개국으로 집계됐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나우루와 마셜제도, 마이크로네시아,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바누아투, 베트남, 사모아, 미국령 사모아, 솔로몬제도, 싱가포르, 일본, 쿡제도, 키리바시, 투발루, 피지, 필리핀, 홍콩과 유럽의 키르기스스탄과 터키 등이 포함됐다.
중동 레바논,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요르단, 이라크, 이스라엘, 쿠웨이트, 팔레스타인과 미주 엘살바도르와 자메이카, 트리니다드토바고, 아프리카의 마다가스카르, 모리셔스와 세이셸, 앙골라, 코모로 등도 한국발 입국을 금지했다.
한국에서 입국한 이들을 일정 기간 격리 조치하거나 검역을 강화하는 등 입국을 제한한 국가는 코로나19 사태 초기 홍역을 치른 중국의 일부 도시를 포함해 52개국이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뉴질랜드를 비롯해 마카오, 네팔, 대만, 라오스, 마카오, 인도, 태국,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미주 멕시코, 베네수엘라,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에콰도르, 온두라스, 콜롬비아, 파나마, 파라과이와 유럽의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아, 벨라루스, 사이프러스, 세르비아 등이다.
이외에도 아이슬란드, 아제르바이잔, 알바니아, 영국, 우즈베키스탄, 조지아, 카자흐스탄, 크로아티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과 중동 모로코, 오만, 카타르, 튀니지, 아프리카의 가봉, 나이지리아, 라이베리아, 말라위, 모잠비크, 민주콩고, 에티오피타, 우간다, 잠비아, 짐바브웨, 케냐 등도 있다.
이에 정부는 우리 국민의 조기 격리를 해제하고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신속한 현장 중심형 영사 조력을 제공하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코로나19 확산으로 우리 대내외 경제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감염병 유행으로 각국이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적 차원에서 입국금지·규제 조치를 시행할 때 우리 국민의 안전과 우리 경제 활력을 어떻게 보호하고 지킬지 새롭게 생각해봐야 할 외교적 과제"라고 부연했다.
그럼에도 외교 당국은 이 같은 사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데 대해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졌다. 각국의 입국 금지 및 제한 조치 강화에 속수무책인 점 또한 비판 대상이다.
윤덕민 전 국립외교원장은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감염병은 기본적으로 외교의 영역이 아니라 과학의 영역"이라면서도 "두 영역 모두 잘 안 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쓴소리를 냈다.
윤 전 원장은 "일단 과학적 측면에서는 철저한 방역을 통해 문제가 없음을 (외국에) 증명하는 게 하나의 방법일 것"이라면서 "외교적 측면에서도 상대국 조치가 부당할 경우 우리 국민이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적절한 해결책을 요구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신화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외교보다는 국민의 방역이 더 중요하다고 중국이 답을 줬다. 그런데 우리는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다"며 "코로나19 사태 대응에서 이데올로기, 총선 등 국내 정치적인 고려가 너무 많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 확산 초기 방역 모범국가로 여겨졌던 시절이 무색할 정도로 한국이 발원지인 중국에 버금가는 여러 수난을 잇달아 겪는 상황이다.
한국민이 해외 공항에서 예고 없이 문전박대를 당하거나 격리 조치되는 등 황당한 사태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외교 당국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 역시 높아지고 있다.
3일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기준 한국발(發) 입국을 금지한 국가는 총 37개국으로 집계됐다.
중동 레바논,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요르단, 이라크, 이스라엘, 쿠웨이트, 팔레스타인과 미주 엘살바도르와 자메이카, 트리니다드토바고, 아프리카의 마다가스카르, 모리셔스와 세이셸, 앙골라, 코모로 등도 한국발 입국을 금지했다.
한국에서 입국한 이들을 일정 기간 격리 조치하거나 검역을 강화하는 등 입국을 제한한 국가는 코로나19 사태 초기 홍역을 치른 중국의 일부 도시를 포함해 52개국이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뉴질랜드를 비롯해 마카오, 네팔, 대만, 라오스, 마카오, 인도, 태국,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미주 멕시코, 베네수엘라,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에콰도르, 온두라스, 콜롬비아, 파나마, 파라과이와 유럽의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아, 벨라루스, 사이프러스, 세르비아 등이다.
이외에도 아이슬란드, 아제르바이잔, 알바니아, 영국, 우즈베키스탄, 조지아, 카자흐스탄, 크로아티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과 중동 모로코, 오만, 카타르, 튀니지, 아프리카의 가봉, 나이지리아, 라이베리아, 말라위, 모잠비크, 민주콩고, 에티오피타, 우간다, 잠비아, 짐바브웨, 케냐 등도 있다.
이에 정부는 우리 국민의 조기 격리를 해제하고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신속한 현장 중심형 영사 조력을 제공하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코로나19 확산으로 우리 대내외 경제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감염병 유행으로 각국이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적 차원에서 입국금지·규제 조치를 시행할 때 우리 국민의 안전과 우리 경제 활력을 어떻게 보호하고 지킬지 새롭게 생각해봐야 할 외교적 과제"라고 부연했다.
그럼에도 외교 당국은 이 같은 사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데 대해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졌다. 각국의 입국 금지 및 제한 조치 강화에 속수무책인 점 또한 비판 대상이다.
윤덕민 전 국립외교원장은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감염병은 기본적으로 외교의 영역이 아니라 과학의 영역"이라면서도 "두 영역 모두 잘 안 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쓴소리를 냈다.
윤 전 원장은 "일단 과학적 측면에서는 철저한 방역을 통해 문제가 없음을 (외국에) 증명하는 게 하나의 방법일 것"이라면서 "외교적 측면에서도 상대국 조치가 부당할 경우 우리 국민이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적절한 해결책을 요구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신화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외교보다는 국민의 방역이 더 중요하다고 중국이 답을 줬다. 그런데 우리는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다"며 "코로나19 사태 대응에서 이데올로기, 총선 등 국내 정치적인 고려가 너무 많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