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5G 전쟁 변수로 떠오른 '신종코로나'
2020-02-10 15:06
중국 투자은행 "신종 코로나, 5G 기지국 설치에 영향"
장비 수급 영향 가능성은 미미… 중국 이통사 마케팅 자제할 듯
장비 수급 영향 가능성은 미미… 중국 이통사 마케팅 자제할 듯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미국과 중국의 5G(5세대 이동통신) 패권 전쟁의 변수로 떠올랐다. 중국이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도시 간 이동을 차단하고 기업들에게 재택 근무를 권장하면서 기지국 설치와 5G 이용자 확보에 제동이 걸렸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의 확산으로 중국 경제에 비상이 걸리면서 중국 내 5G 커버리지 확대와 이용자 확보에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미국 경제 매체 CNBC는 중국의 투자은행 차이나 르네상스의 보고서를 인용해 "여러 개의 도시에서 5G 기지국 설치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 춘절 연휴 연장과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한 격리 조치가 5G 확산을 지연시킬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은 정부를 중심으로 5G 시장 선점을 주요 정책 과제로 추진 중이다. 중국 국무원은 '중국 제조 2025'와 '13차 5개년 국가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 계획'을 통해 5G를 전략산업으로 지정했다.
중국은 한국과 미국이 4월 3일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에 성공하자 2020년으로 예정됐던 상용화 일정을 지난해 11월로 앞당기는 초강수를 뒀다. 중국 이동통신 3사는 전국 50개 도시에서 5G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일정을 앞당겼음에도 14억명이 넘는 거대한 인구 수와 샤오미 등 중국 브랜드의 저렴한 5G 스마트폰을 무기 삼아 사전예약 가입자만 1000만명을 돌파했다. 2020년 말에는 5G 서비스 가능 지역을 340개 도시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이 중국 정부의 5G 전략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신종 코로나는 중국에서만 4만명이 넘는 감염자를 발생시키면서 사람과 물자의 이동을 엄격히 차단하는 상황이다. 때문에 인력을 동원해야 하는 기지국 구축 작업이나 중국 이동통신사의 5G 마케팅·홍보 활동에도 제약이 따를 것이란 분석이다.
장석권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는 "5G를 서비스하는 이통사 입장에서 대도시까지도 경제 활동이 정지하는 국가 비상 상황에 공격적인 마케팅을 하기에는 실익이 적다고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장비 수급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게 중론이다. 통상적으로 네트워크 장비는 3~6개월의 시간을 갖고 발주하기 때문이다.
김홍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바이러스가 중국 전역으로 확산해 공장들이 대거 가동중단되지 않는 이상 네트워크 장비 업체가 피해를 볼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전망했다.
중국과 미국 간 5G 패권 경쟁은 한층 치열해지고 있다. 지난해 미국의 이동통신사 버라이즌과 AT&T는 올해 최대 380억달러(약 45조원) 규모의 투자를 집행한다. 트럼프 정부는 동맹국들에게 화웨이의 장비를 사용하지 말 것을 지속적으로 요청하면서 자체 5G 기술 개발 계획도 세웠다.
중국 이동통신사들의 올해 5G 관련 설비투자 규모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향후 2030년까지 300조원 이상을 5G 네트워크 인프라에 투자할 계획이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의 확산으로 중국 경제에 비상이 걸리면서 중국 내 5G 커버리지 확대와 이용자 확보에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미국 경제 매체 CNBC는 중국의 투자은행 차이나 르네상스의 보고서를 인용해 "여러 개의 도시에서 5G 기지국 설치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 춘절 연휴 연장과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한 격리 조치가 5G 확산을 지연시킬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은 정부를 중심으로 5G 시장 선점을 주요 정책 과제로 추진 중이다. 중국 국무원은 '중국 제조 2025'와 '13차 5개년 국가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 계획'을 통해 5G를 전략산업으로 지정했다.
중국은 한국과 미국이 4월 3일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에 성공하자 2020년으로 예정됐던 상용화 일정을 지난해 11월로 앞당기는 초강수를 뒀다. 중국 이동통신 3사는 전국 50개 도시에서 5G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일정을 앞당겼음에도 14억명이 넘는 거대한 인구 수와 샤오미 등 중국 브랜드의 저렴한 5G 스마트폰을 무기 삼아 사전예약 가입자만 1000만명을 돌파했다. 2020년 말에는 5G 서비스 가능 지역을 340개 도시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이 중국 정부의 5G 전략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신종 코로나는 중국에서만 4만명이 넘는 감염자를 발생시키면서 사람과 물자의 이동을 엄격히 차단하는 상황이다. 때문에 인력을 동원해야 하는 기지국 구축 작업이나 중국 이동통신사의 5G 마케팅·홍보 활동에도 제약이 따를 것이란 분석이다.
장석권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는 "5G를 서비스하는 이통사 입장에서 대도시까지도 경제 활동이 정지하는 국가 비상 상황에 공격적인 마케팅을 하기에는 실익이 적다고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장비 수급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게 중론이다. 통상적으로 네트워크 장비는 3~6개월의 시간을 갖고 발주하기 때문이다.
김홍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바이러스가 중국 전역으로 확산해 공장들이 대거 가동중단되지 않는 이상 네트워크 장비 업체가 피해를 볼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전망했다.
중국과 미국 간 5G 패권 경쟁은 한층 치열해지고 있다. 지난해 미국의 이동통신사 버라이즌과 AT&T는 올해 최대 380억달러(약 45조원) 규모의 투자를 집행한다. 트럼프 정부는 동맹국들에게 화웨이의 장비를 사용하지 말 것을 지속적으로 요청하면서 자체 5G 기술 개발 계획도 세웠다.
중국 이동통신사들의 올해 5G 관련 설비투자 규모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향후 2030년까지 300조원 이상을 5G 네트워크 인프라에 투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