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물가상승률 OECD 36개국 중 33위...2년 새 18위 하락
2020-02-10 09:56
지난해 물가상승률 0.4%...통계 작성 이래 최저
신종코로나, 개선세 보이는 소비자물가 상승세 '찬물'
신종코로나, 개선세 보이는 소비자물가 상승세 '찬물'
지난해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최하위권으로 떨어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에 소비가 줄며 물가 상승률이 더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0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를 보면 지난해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4%로 36개 회원국 중 33위를 기록했다. 이는 통계 집계 이후 최저치다.
한국보다 물가 상승률이 낮은 곳은 그리스(0.2%)와 포르투갈(0.3%)뿐이다. 스위스(0.4%)는 스위스프랑 가치 절상으로 인해 물가 상승률이 한국과 같았다.
2년 사이 18계단이나 하락했다. 2017년만 해도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로 15위였다. 2018년 1.5%로 낮아지며 26위로 밀려났고, 지난해에는 33위까지 떨어졌다.
민간 경제의 물가 상승 압력을 보여주는 OECD 기준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 상승률도 낮아졌다. 우리나라는 2017년 근원물가 상승률이 1.7%로 OECD 회원국 중 13번째로 높았다. 2018년에는 1.2%로 꺾이며 19위로 밀렸고, 지난해에는 0.7%까지 낮아지며 29위가 됐다.
올해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5%를 기록하며, 지난 2018년 12월(1.3%) 이후 13개월 만에 1%대로 올라섰지만, 신종코로나 사태 후 국내 소비가 줄어 물가 상승률이 다시 낮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경제동향 2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부진이 완화했지만 신종 코로나로 인한 외국인 관광객 감소와 내국인의 외부 활동 위축이 향후 숙박·음식점업 등 서비스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중국산 부품 수급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국내 산업 생산도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국내에서 신종코로나가 추가로 확산할 경우 소비가 0.3∼0.4%포인트 줄어들 수 있다고 추산했다.
우리나라 중앙은행인 한국은행도 가파르게 하락하는 물가 상승률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달 기준금리 결정 회의 의사록을 보면 한 금통위원은 "수년간 이어진 기조적인 물가 상승률의 하락 추세가 반전되기는 쉽지 않다"라며 "근원물가 상승률이 더 둔화할 경우 상대적으로 디플레이션(작은 충격에도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해서 하락하며 경제 전반을 위축시키는 현상) 우려가 확대될 수 있다"고 밝혔다.
10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를 보면 지난해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4%로 36개 회원국 중 33위를 기록했다. 이는 통계 집계 이후 최저치다.
한국보다 물가 상승률이 낮은 곳은 그리스(0.2%)와 포르투갈(0.3%)뿐이다. 스위스(0.4%)는 스위스프랑 가치 절상으로 인해 물가 상승률이 한국과 같았다.
2년 사이 18계단이나 하락했다. 2017년만 해도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로 15위였다. 2018년 1.5%로 낮아지며 26위로 밀려났고, 지난해에는 33위까지 떨어졌다.
민간 경제의 물가 상승 압력을 보여주는 OECD 기준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 상승률도 낮아졌다. 우리나라는 2017년 근원물가 상승률이 1.7%로 OECD 회원국 중 13번째로 높았다. 2018년에는 1.2%로 꺾이며 19위로 밀렸고, 지난해에는 0.7%까지 낮아지며 29위가 됐다.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경제동향 2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부진이 완화했지만 신종 코로나로 인한 외국인 관광객 감소와 내국인의 외부 활동 위축이 향후 숙박·음식점업 등 서비스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중국산 부품 수급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국내 산업 생산도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우리나라 중앙은행인 한국은행도 가파르게 하락하는 물가 상승률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달 기준금리 결정 회의 의사록을 보면 한 금통위원은 "수년간 이어진 기조적인 물가 상승률의 하락 추세가 반전되기는 쉽지 않다"라며 "근원물가 상승률이 더 둔화할 경우 상대적으로 디플레이션(작은 충격에도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해서 하락하며 경제 전반을 위축시키는 현상) 우려가 확대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