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제조업, 2020년 1/4분기 체감경기‘흐림’

2020-01-20 08:43
인천상의,2020년 1/4분기 BSI 전망치‘70’, 경기 하강 국면 지속 전망

인천상공회의소(회장 이강신)가 최근 인천지역에 소재한 제조업체 130여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 1/4분기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천지역 제조업체의 2020년 1/4분기 전망 BSI는 ‘70’을 기록했다.

전망 BSI ‘70’은 기준치 ‘100’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인천지역 업체들은 2019년 4/4분기 대비 2020년 1/4분기 경기를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경제 흐름에 대한 설문에서도 응답업체의 52.9%’(악화 42.8%, 매우 악화 10.1%)는 2019년에 비하여 경제 흐름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내수침체 장기화’(40.4%), ‘최저임금‧주52시간 등 고용환경 변화’(25.7%) 등의 대내리스크와 ‘美‧中 무역분쟁 등 보호무역주의’(37.5%), ‘환율‧금리 변동성 심화’(24.1%) 등 대외환경의 불확실성이 기업인들의 심리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보인다.

◆체감경기 BSI

 




2020년 1/4분기 경기를 주요 업종별로 전망해보면 ⌜철강⌟(BSI 100) 업종만이 지난 분기와 비슷할 것으로 조사되었고, ⌜IT․가전⌟(BSI 65), ⌜자동차․부품⌟(BSI 88), ⌜기계⌟(BSI 52), ⌜식음료⌟(BSI 57), 기타(BSI 71)로 대부분의 업종이 기준치 ‘100’에 미치지 못하여 지난 분기에 비하여 악화될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업종별 BSI

[1]

 
 




부문별 1/4분기 경기는 ⌜체감경기⌟(BSI 70), ⌜매출액⌟(BSI 74), ⌜영업이익⌟(BSI 64), ⌜설비투자⌟(BSI 80), ⌜자금조달여건⌟ (BSI 67) 전 부문에서 기준치 ‘100’에 미치지 못하여 경기 부진이 예상된다.

◆부문별경기 BSI



2019년 대비 2020년 경제 흐름은 응답업체의 52.9%(악화 42.8%, 매우 악화 10.1%)가 ‘악화’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올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한 업체는 36.2%였으며, ‘호전’될 것이라고 답한 업체는 10.9%에 불과하였다.

◆2019년 대비 2020년 경제흐름전망

 


2020년 경영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대내리스크로는 응답업체의 40.4%가 ‘내수침체 장기화’를 꼽았다. 다음으로 ‘최저임금‧주52시간 등 고용환경 변화’ (25.7%), ‘투자심리 위축’(17.5%), ‘총선 등 정치이슈’(8.2%), ‘신산업‧혁신을 가로막는 정부규제’(7.9%), 기타(0.3%) 순으로 답하였다.

◆2020년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대내리스크

 

응답업체의 37.5%는 ‘美‧中 무역분쟁 등 보호무역주의’가 2020년 경영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외리스크라고 답했다. 다른 대외리스크로는 ‘환율‧금리 변동성 심화’(24.1%), ‘中 경제성장세 둔화’(22.6%), ‘수출규제‧지소미아 등 韓‧日 갈등’(13.0%), ‘브렉시트’(1.1%), 기타 1.5%로 조사되었다.


2020년 사업계획 방향에 대해서는 응답업체의 70.1%가 ‘보수적’으로 세울 계획이라고 답하였으며, ‘공격적’으로 세우겠다고 답한 업체는 29.9%로 나타났다


2020년 사업계획을 ‘보수적’으로 세울 것이라고 응답한 업체들은 가장 큰 이유로 ‘불확실성 증대로 소극적 경영’(67.6%)을 꼽았다. 다른 이유로는 ‘원자재값 변동성 확대’(14.4%), ‘국내시장 포화로 투자처 부재’(12.6%), ‘서비스‧신산업 등 신규투자 기회 봉쇄’(2.7%), 기타 2.7%로 답하였다.


응답업체의 60.9%가 2020년 신규채용 인원은 ‘2019년과 비슷’할 것이라고 답하였으며, 2020년에는 ‘2019년보다 신규채용을 줄일 것’ 이라고 답한 업체는 23.2%, ‘2019년보다 신규채용을 늘릴 것’이라고 답한 업체는 15.9%로 나타났다.


2020년 정부에서 역점을 두어야할 경제정책으로는 응답업체의 47.2%가 ‘고용‧노동정책 탄력적용’이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하였으며, ‘수출‧투자 모멘텀 회복’(26.4%), ‘파격적 규제개혁’(22.0%), ‘벤처창업 활성화‧스케일업(Scale-up)’(4.4%)에 대한 정책도 필요하다고 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