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의 유전자가위 발굴한다"… 정부, 바이오헬스 R&D 전략 공개
2019-12-18 16:30
기존 7개 분류체계 인력양성·규제혁신 반영 10개로 조정
기초연구 성과 연계 지원 강화·애로영역 해소 중장기적 투자
기초연구 성과 연계 지원 강화·애로영역 해소 중장기적 투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가 2025년까지 연간 4조원 이상을 바이오·헬스에 투자하는 '바이오 헬스 R&D 투자전략 Ⅰ'을 공개했다.
이번 투자전략은 지난 5월 발표한 '바이오 헬스 산업 혁신전략' 중 R&D 투자에 대한 부분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과기혁신본부는 투자전략을 위해 9월부터 산업계, 학계, 연구계, 민간 투자업계 전문가로 구성된 실무작업반을 통해 현장의 의견을 투자전략에 대폭 반영했다.
먼저 바이오헬스 R&D 분류체계를 정책과 맞물린 10개 분야로 조정해 사각지대를 없앤다. 분류조정은 기존의 7개 분류가 기술 중심이어서 인력 양성, 산업기반과 같은 기술분야가 특정되지 않은 R&D는 반영이 곤란하고 전략적 투자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에 따라 '산업혁신·규제과학' 분야를 신설해 바이오헬스 산업 전반을 활성화하고 규제합리화를 지원한다. 또한 '원천·기반연구' 분야는 기존 뇌과학 분야를 포함해 신설했다.
신약, 줄기세포 분야는 '의약품', '재생의료' 분야로 변경해 범위를 넓혔다. 유전체 분야를 재구성해 '헬스케어 서비스', '생명자원·정보인프라'로 신설해 R&D의 의미와 목적을 명확하게 정리했다.
또한 과기혁신본부는 투자전략을 통해 △원천·기반연구 △의약품 △헬스케어서비스 △산업혁신·규제과학에 대한 세부분야를 설정하고, 분야별 특성에 맞는 투자 전략을 제시했다. 나머지 6개 분야에 대한 투자전략은 2020년 구체화할 계획이다.
유전자가위와 같이 선도적 역할(First Mover)을 할 수 있고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에 범용적으로 활용 가능한 신개념·신기술 R&D에 대한 투자를 강화한다.
'의약품 분야'는 △후보물질 도출 △의약품 개발 △공통기반 분야로 구성되며 신규 핵심 타겟 검증과 초기 파이프라인 발굴에 역량을 집중한다. 신규 면역항암제, 유전자치료 생산기술과 같은 차세대 첨단바이오의약품 원천기술 개발과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 등 임상역량 확충도 지원한다.
더불어 신약 후보물질 발굴부터 사업화까지 전주기 역량 및 범부처 협업을 강화하는 한편, 임상 전문가 컨설팅 및 네트워킹 등 기업의 애로영역 해소를 위해 중장기적으로 투자한다.
'헬스케어서비스 분야'는 헬스케어 빅데이터 구축, 활용 및 서비스 2개 세부분야로 구성되며, 개인 중심의 표준화된 데이터 수집과 구축이 가능하도록 헬스케어 빅데이터 표준화·보안기술과 같은 공통 플랫폼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또한 헬스케어 분야 빅데이터 활용과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실증연구, 디지털치료제와 같은 신기술 영역 개척,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시범서비스 등을 발굴할 예정이다.
'산업혁신·규제과학 분야'는 산업혁신, 규제과학 2개 세부분야로 구성된다.
이 분야는 초기 창업, 기술사업화를 위한 실증공간·장비 제공, 멘토링 지원, 오픈 이노베이션 구축 지원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국제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바이오 생산장비·원부자재·차세대 의료소재 등 해외 의존도가 높은 바이오헬스 기술(분야)에 대해 차별화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차세대 핵심기술에 대한 평가기법을 마련하고 R&D 기획 단계부터 기술-규제 정합성을 검토하는 등 신기술이 적기에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규제개선 연구를 지원한다.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을 우리나라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중점 육성하겠다는 의지가 확고한 만큼, 전략적인 R&D투자가 중요하다"며 "글로벌 트렌드와 한국의 바이오헬스 현황 분석,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주요 분야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투자전략을 마련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