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이슈人] 김종회 “곤충산업을 미래성장산업으로” 정책자료집 발간

2019-10-19 00:00
“조국이 국감 전부 아냐”…곤충산업·산림휴양 정책 대안 제시

김종회 대안신당 의원이 1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농해수위 국정감사에서 질의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종회 대안신당(가칭) 의원이 연일 이어지는 국정감사 속에서도 정책자료집을 발간해 눈길을 끌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 의원이 발간한 정책자료집은 총 2권이다. 2주가량 진행되는 국감에서 많지 않은 건수라고 볼 수도 있지만, 그동안의 ‘국감 전례’에 비춰봤을 때는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한의학 박사를 취득한 이력의 소유자인 그는 국회 내에서 동양사상 전문가로 꼽힌다.

김 의원실 관계자는 “날카로운 상임위 질의는 질의대로 하고 있다”면서 “국감이 온통 조국 법무부 장관에 대한 논란과 의혹을 점철된 상황에서 정책 지적과 대안 제시라는 국감 본연의 취지를 되새겨보자는 취지에서 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15일에 발간한 정책자료집은 미래 고부가가치 성장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곤충산업을 다뤘다.

김 의원은 ‘우리나라 곤충산업 현황과 발전방안’이라는 정책자료집에서 곤충산업이 미래 핵심소득 농업으로 도약하고 기술기반 첨단 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 반드시 고려돼야 할 선결과제를 모색했다. 또한 기술개발과 실용화를 위한 특단의 대책도 요구했다.

농식품 영역은 친환경농업과 시설원예의 확산으로 해충방제용 천적곤충, 식물의 수정을 돕는 뒤영벌 등 화분매개 곤충, 단백질 공급원인 귀뚜라미와 밀웜(Meal worm) 등 식품과 사료용 곤충의 산업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김 의원은 곤충산업의 도약을 위한 선결과제로 △곤충농가 사육시설 규모화 및 현대화 △대량사육을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 △해외시장 개척 등 대량 소비시장 창출 △지역별로 분산돼 있는 소비·유통 체계 고도화 △식용곤충에 대한 선입견 해소 등을 제안했다.

김 의원은 “곤충산업은 미래 고부가가치 성장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선진국들은 오래 전부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연구개발 및 산업화에 매진하고 있다”면서 “곤충의 가치가 식량·기능성 소재·환경정화 등 미래 농업자원으로 새롭게 조명을 받으면서 곤충산업의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18일에 배포한 두 번째 정책자료집은 산림휴양정책과 관련한 국민들의 다양한 수요들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산림휴양 정책은 상임위와는 연관이 있지만, 본인의 지역구(전북 김제·부안)와는 무관하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김 의원은 “우리나라 국토의 대부분인 산으로 둘러싸였다는 점에서 지역구와는 상관없이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 30년의 노력으로 산림휴양은 당당히 국민여가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지만 아직도 현장에서는 많은 개선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경관만을 중시해 깊은 산 속에 조성된 일부 자연휴양림은 접근성이 떨어져 국민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 산림휴양이라는 개념이 생겨난 것은 지난 1988년 경기도 가평 유명산에 자연휴양림이 조성되면서 부터다. 이때를 시작으로 숲에서 산책하고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는 산림휴양 공간이 급속도로 늘어났고, 이후 산림치유와 산림 레포츠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김 의원은 ‘산림휴양정책 발전을 위한 제언’에서 △다양하고 특성화된 산림휴양 시설 개발 △산림휴양의 다각적인 운영 방안 개발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기관 승격 검토 △산림휴양 정보망 구축 및 활용 범위 확대 △급증하는 캠핑수요에 따른 숲속야영장 확대 등을 제안했다.

김 의원은 “산림휴양시설 노후화와 펜션, 리조트 등 경쟁시설 증가에 따른 이용객 정체 및 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 요구 등 산림휴양 수요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면 “변화하는 산림휴양 수요를 보다 적절하게 반영하여 산림휴양시설의 수익률이나 가동률을 높여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