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보는 GGGF]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AI 인재 양성’이 해답
2019-08-29 00:05
"첫째도 인공지능, 둘째도 인공지능, 셋째도 인공지능이다."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은 지난 7월 문재인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해 한국이 집중해야 할 분야에 대해 이같이 조언했다. 인공지능(AI) 산업 육성을 위해 교육부터 정책과 예산, 투자까지 전 분야에 걸쳐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얘기였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은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빅데이터(Big Data), 모바일(Mobile)과 인공지능(AI)이다. 이 가운데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은 AI이다. 전문가들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해 ‘AI와 빅데이터의 융합’이라고 입을 모은다. 다양한 정보들을 빠르고 똑똑하게 처리하게 되면서 산업의 패러다임 또한 AI를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본고장인 독일을 비롯, 일본과 캐나다 등은 AI 산업 육성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독일 정부는 지난해 8월 ‘하이테크전략 2025’를 발표하고 AI 기술향상을 위해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구축, 데이터 처리 연구를 집중 지원하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AI 전문 교수직을 개설하는 내용을 담았다.
미국도 AI 분야 연구개발(R&D), 규제개혁, 인재양성 등 6대 분야 지원 방안을 수립한 상태다. 일본은 2017년 인공지능기술전략회의를 설립해 민‧관이 AI 기술개발을 협업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한 상태다.
중국 국무원도 2017년 중국 최초 국가 차원의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계획을 발표했으며 국가 차원의 AI 플랫폼 구축을 위해 ’차세대 AI 발전추진계획실’을 설립했다. 알리바바는 스마트시티, 바이두는 자율주행차를 중심으로 개발에 몰입하는 분업 형태다.
우리나라 정부는 올해 초 데이터와 AI 산업 육성을 위해 2023년까지 데이터 시장규모를 30조원으로 끌어올리고 빅데이터 센터 100곳과 빅데이터 플랫폼 10개, AI 허브 조성에 나서기로 한 상태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AI기술이 미국과 중국, 일본에 비해 뒤진 만큼 AI 우수인력의 파격적인 유치와 더불어 국내인재 유출을 방지하는 데 힘을 쏟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지난해 12월 발간한 ‘인공지능을 선도하는 주요국의 핵심전략’ 보고서에서 “대학 등 교육기관과 정부는 우수인력 유출을 방지하고,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시스템 개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상근 한국정보화진흥원 정책본부 미래전략센터 선임은 “전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교수를 영입해 해외대학 석‧박사 과정으로 유출되는 인력을 줄이고 해외 우수학생 유입을 장려해야 한다”며 “취업비자 장벽을 낮추는 등 구체적 노력을 통해 우수한 인력이 국내에 유입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혜택을 구체화 해 글로벌 기업 AI R&D센터를 유치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글로벌 기업의 국내 유치를 통해 우수인력의 해외 유출을 방지하고, 해외 우수인력의 국내 유입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교육과 관련해 우 선임은 “AI 기술은 단순히 프로그래밍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전반적인 수리과학 능력 향상이 핵심”이라며 “수리과학 교육과정 확대에 필요한 과목을 정의한 후, 중등 교육에서 기초적인 내용을 교육하고 고등 교육에서는 심화과정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