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평규 칼럼] 중국 남부 웨강아오대만구 경제벨트 부상에 주목하라

2019-08-29 07:00
홍콩 시위사태로 더 주목받는 대만구 핵심도시 '선전'
현지 진출기업 지원, 전문인력 양성, 현지 합작파트너 모색 등 대비책 세워야

조평규 전 중국연달그룹 수석부회장

최근 홍콩사태가 발생하자, 중국 정부는 홍콩을 둘러싼 '웨강아오(粤港澳, 광둥·홍콩·마카오) 대만구(大灣區)'의 전략적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더욱 주목하기 시작했다.

만약 홍콩 시위 사태가 중국의 무력에 의하여 진압된다면, 홍콩의 기능이 상당한 타격을 받게 될 것은 뻔한 이치다. 웨강아오 대만구(이하 대만구)는 유사시 거의 완벽하게 홍콩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도록 기획된 경제벨트다.

대만구는 홍콩·마카오, 그리고 광둥성 남부 지역 9개 도시인 선전·광저우·주하이·둥관·포산·후이저우·중산·장먼·자오칭을 포함해 총 면적이 5만6000㎢, 2018년 말 기준 총 인구가 약 7000만명에 달하는 거대한 경제권이다. 2018년 기준으로 한국과 비슷한 경제규모(1조6000억 달러)를 가지고 있으며, 1인당 소득도 2만2000달러에 달한다.

사실 대만구를 건설하려는 계획과 전략은 1994년에 시작됐다. 이후 2017년 7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웨강아오 합작추진 건설 기본협의'에 서명하면서 본격적으로 건설됐다. 올 2월 중국 국무원에서 '웨강아오대만구 발전계획요강'도 발표하면서 한층 더 구체적이고 세분화돼 추진되고 있는 모습이다.

중국의 북쪽에 수도 베이징을 중심으로 인근 톈진, 허베이성을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는 총면적 21만6000㎢, 인구 1억명의 '징진지(京津冀) 수도권' 지역이 있다면, 남쪽엔 홍콩과 마카오를 포함해 광둥성 남부 일대를 대규모 글로벌 경제벨트로 구축하는 프로젝트인 대만구 경제권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징진지 지역이 중국 북부 수도권의 경제·문화·역사·정신문명·의료·교육 등을 아우르는 사회통합적 성격이 강하다면, 대만구는 중국 남부의 첨단산업과 창업혁신, 그리고 첨단제조업 정책인 ‘중국제조 2025’의 과학기술 함량이 높은 업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한 곳이라 볼 수 있다. 

대만구는 중국 경제발전을 선도하는 활력 넘치는 도시들로 구성돼 있다. 이 지역은 고속철도는 물론 고속도로, 항구, 공항 등 기초 인프라를 잘 갖췄다.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 '인터넷 공룡' 텐센트, 세계 1위 상업용 드론 기업인 DJI 등 대형 첨단 하이테크 기업들의 본사가 이 지역에 집중돼 있다.

대만구의 중점 4개 도시(홍콩, 마카오, 광저우, 선전)는 경제벨트의 중심도시로 발전의 핵심엔진 역할을 담당한다. 기존 공항을 대규모로 확장하고, 도시 간 철도 및 고속도로를 추가 건설해 모든 지역을 '1시간 생활권'으로 묶고 있다. 

대만구엔 국가 빅데이터 센터, 국가급 대형 과학연구기관이 들어서고, 핵심 4차산업이 우선적으로 육성되며, 국가 예산과 기금 투자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주장삼각주(珠三角) 일대에 무료 고속 무선인터넷망을 구축하고, 현재의 역내 국제 휴대폰요금 체계도 개선해 국내요금으로 통합한다는 계획이다.

광저우는 광둥성 내륙경제의 중심지로, 홍콩은 국제금융·무역·물류·항공 중심지, 마카오는 관광도시로 개발하고, 주하이·포산을 중심으로 한 주장(珠江) 서쪽지역은 선진장비 제조산업을 배치한다. 또 선전·둥관을 중심으로 하는 주장 동쪽지역은 세계적인 영향력과 경쟁력을 가진 금융· IT 관련 제조업을 배치한다는 계획이다.

2035년 개발이 완료되면 세계 3대 항만경제권(도쿄 베이, 뉴욕 베이, 샌프란시스코 베이)을 능가하는 글로벌 경제벨트가 구축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중국 국무원은 대만구를 미국 실리콘밸리를 능가하는 아시아 벤처기업 중심도시로 발전시킨다는 전략을 가지고 있다.

이 지역을 시진핑 국가주석이 중시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 육·해상 실크로드)’의 중국 남부 중심지역으로 육성해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 중동, 유럽으로 연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대만구 간 국경의 벽을 허물어 인재와 지식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규제나 제약을 줄여 빠른 성장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얘기다. 구체적으로 홍콩·마카오 청년들의 중국 본토 대학교 진학을 장려하고, 다양한 장학정책으로 우수한 청년들의 중국 귀화를 추진하게 된다. 또, 홍콩·마카오 초·중학교 교사, 유치원 교사들에게는 중국 본토지역 교사 자격 취득 및 공무원 임용 기회를 확대하며, 홍콩·마카오 주민이 중국 본토에 취업할 경우 교육, 의료, 노후 대비, 주택, 교통 지원 등에서 본토 주민과 같은 혜택을 누리게 된다.

중국 정부는 대만구 계획이 일국양제(一国两制·한 국가 두 체제)의 발전을 위한 정책이라고 강조한다. 하지만 경제는 자본주의, 정치는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한다는 것은 상당한 모순이 존재하는 게 사실이다. 그런 만큼 대만구 계획은 오히려 홍콩과 마카오를 중국 대륙에 통합시키는 전략의 하나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지난 18일 홍콩의 시위 사태가 거세지자 중국 정부는 홍콩의 금융 역할을 대체하는 지역으로 선전을 지목하고 다양한 정책을 펴겠다고 발표했다.

기술력을 갖춘 벤처기업은 간단한 심사만으로도 상장할 수 있도록 하고, 블록체인 관련 규제도 완화하겠다고 했다. 그리고 홍콩 금융기관과 상품의 상호인증 확대, 위안화 국제화에 따른 규제 완화, 선전의 외환관리 현대화를 지원하고, 국제기구의 유치에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사실상 홍콩이 담당하던 국제금융 기능을 선전으로 옮기겠다는 강한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풀이된다.

홍콩과 마카오는 자유민주주의 하의 자본주의를 바탕으로 발전해 왔는데, 최근 홍콩사태에서 보듯이, 중국의 사회주의적인 통제에 들어갈 경우, 홍콩과 마카오는 광둥성 발전의 불쏘시개 역할만 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대만구가 추구하는 산업구조는 한국이 지향하는 미래 첨단산업 지도와도 거의 일치하는 만큼 향후 한국의 경쟁자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대만구는 우리나라의 1.4배 인구를 가지고 있는 데다가 외국에서 유학한 우수한 인재, 내륙지역의 저렴한 인적자원을 가지고 있어 경쟁에서 한국보다 유리한 점이 적지 않다.

우리는 이 지역에 특화된 인력을 키우고, 전략적으로 우리기업들을 많이 진출시켜 교두보를 만들어야 한다. 또 현지의 신뢰할 만한 합작파트너를 찾는 등 중·장기적인 전략으로 대비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