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보복] 은행권, 日보복에 근거 있는 자신감 왜?
2019-08-07 16:06
금융 보복 일어난다면 핵심은 자금 회수
일본계 외화 차입비중·가능성 모두 낮아
외화자산 유동성 충분… "휘둘리지 않아"
일본계 외화 차입비중·가능성 모두 낮아
외화자산 유동성 충분… "휘둘리지 않아"
일본의 1, 2차 경제보복이 금융권으로 확대될 거란 우려에 시중은행의 한 외화담당 관계자는 이같이 단언했다. 시장의 불안감을 막기 위한 '립서비스' 차원이 아니다.
자산을 현금으로 즉시 전환할 수 있는 유동성과 관련한 외화자산 능력을 충분히 갖췄다는 게 은행권이 제시하는 핵심 근거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고(高)유동성 외화자산 능력을 나타내는 외화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에 대해 금융당국이 시중은행에 요구하는 가이드라인은 80% 수준이다. 국내 은행에서 외국계 자금이 급격히 유출할 경우 80% 이상 유동성을 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일본이 은행권을 타깃으로 보복을 이어갈 심산이라면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위기 당시와 같은 방식이 쓰일 공산이 크다. 국내에 유입된 일본계 자금을 일시 회수해 피해를 입힐 수 있다고 복수의 전문가들은 관측하고 있다.
이때 은행들의 외화 LCR이 80% 이하면 문제가 될 수 있지만 국내 주요은행의 외화 LCR은 당국이 요구하는 기준을 크게 상회하고 있는 걸로 나타났다.
5대 은행의 1분기 기준 LCR을 보면 KEB하나은행 140%, KB국민은행 110.72%, 우리은행 109.37%, NH농협은행 106.8% 수준이다. 신한은행도 1분기 평균 106% 가량으로 높은 수치를 유지했다.
이뿐 아니라 시중은행의 일본계 외화차입금 비중이 적은 것도 금융권 보복이 어려운 이유로 꼽힌다. 올해 6월말 기준 일본계 외화차입금은 10조6000억원으로 집계, 전체의 6.6%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일본 본토의 기업 또는 개인이 우리나라 소재의 은행에 엔화를 예금해 해당 은행의 자산으로 잡혔을 때, 이를 갑작스럽게 회수한다면 타격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 국내에 유입된 자금은 사실상 전무하다.
다만 일본계 은행을 통한 국내 은행들의 차입이 발생하는데, 이런 차입금 비중이 적은데다 정작 일본계 은행들이 대출 상환을 주장할 수 없다는 게 시중은행들의 공통된 설명이다. 국내 은행들이 이자를 부담하고 있는 실정에서 일본계 은행들이 이자 이익을 포기하면서까지 리스크를 감수하지 않을 거란 이유에서다.
예상치 못한 자금 회수에 대해 시중은행들은 탄탄한 준비태세도 갖췄다. 유동성 위기상황 시 자금이탈 가능성이 높은 도매 자금조달과 단기외화자금 조달에 대한 편중도 완화, 조달 수단 다변화를 추진하면서 대응력을 키웠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만기구조, 지역별 자금조달원 다변화를 통해 만기와 조달지역의 편중도를 완화하고 있다"며 "유동성 위기상황을 인식하면 리스크관리협의회에서 최종 유동성 위기 상황을 판단하고, 비상조달계획안을 의결해 비상대책위원회에서 실행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국내 은행권이 일본 때문에 받을 타격은 없다"며 "일본계 은행의 이른바 '제로금리'인 걸 국내 은행권이 이용한다고 보면 된다. 위기상황 시 자금 유출을 충분히 커버가능한 수준으로 고유동성자산을 보유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