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군, 능안골고분군 발굴조사 완료

2019-06-12 09:05
-청마산성 남성벽 사면부에 100여기 백제고분 추가 확인...유적정비 박차

4차 발굴조사대상지, 능안골 고분 발굴지 전경[사진=부여군제공]


부여군(군수 박정현)은 지난 4월부터 ‘백제왕도 핵심유적 보존․관리사업’의 하나로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를 받아 능안골고분군(사적 제420호) 발굴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백제 사비시대 돌방무덤과 봉분 일부를 확인하였다고 밝혔다.

부여 능안골고분군은 백제 사비기 귀족층의 무덤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1995년과 1996년 두 차례에 걸친 긴급 발굴조사(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시행)를 통해 은제관모장식과 금동제이식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어 사적 제420호로 지정된 곳이다.

2017년도부터 능안골고분군 북동편 지역에 대해 시굴 및 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조사는 그동안 확인되지 않았던 백제 사비기 무덤의 봉분 조성방식 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발굴조사 결과, 총 5기의 백제 사비기 무덤이 확인되었는데, 그 중 잔존상태가 양호한 무덤의 구조는 현실(玄室)과 연도(羨道), 묘도(墓道)로 이루어진 횡혈식석실묘(橫穴式石室墓, 굴식돌방무덤) 2기와 현실(玄室)과 묘도(墓道)로 이루어진 횡구식석실묘(橫口式石室墓, 앞트기식돌방무덤) 1기이다. 현실 내부에서는 금동제이식, 철제 관못과 관고리가 출토되었다.

*현실(玄室) : 시신을 안치한 방
*연도(羨道) : 고분의 입구에서 시신을 안치한 방까지 이르는 길
*묘도(墓道) : 무덤의 입구에서부터 시신을 두는 방까지 이르는 길

확인된 백제 사비기 무덤 중, 1호묘는 거칠게 다듬은 돌(割石)을 이용하여 단면형태 터널식으로 구축되었고, 현문(玄門)시설 없이 연도와 묘도가 달린 횡혈식 석실묘로 조사범위 내에서 가장 먼저 축조된 무덤에 해당한다. 현실의 천장석 상부로 약 80㎝ 정도 두께의 봉토가 일부 남아있다. 봉토층은 이 일대 지반을 이루고 있는 풍화암반토와 깬 돌(割石)을 섞어 단단히 다져진 상태이다.

3호묘 역시 장방형으로 비교적 잘 다듬은 판석(板石)을 이용한 단면형태 육각형의 현실과 문주(門柱) ․ 문인방석(門引枋石)으로 이루어진 현문(玄門)시설, 연도가 달린 횡혈식 석실묘로서, 1호묘보다 늦게 조성되었다.

특히, 북쪽과 동쪽으로 형성된 자연곡간부로부터 무덤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석실 조성 이전에 수평지반을 조성한 흔적이 확인되었으며, 현실 천장석 상부로 최대 두께 86㎝ 정도의 봉토층이 남아있으며, 직경 7.7~10.1m 규모의 타원형태로 확인되었다. 3호묘의 봉토층은 모래함량이 높은 흙을 이용해 중앙의 매장시설을 향해 비스듬하게 상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4호묘는 경사면 삭평으로 인해 석실 대부분이 파괴되었지만 내부에서 금동제이식 1쌍이 출토되었고, 5호묘는 현실과 묘도로 이루어진 횡구식석실묘(橫口式石室墓, 앞트기식돌방무덤)로, 조사범위 내에서 가장 늦은 단계에 조성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능안골고분군 발굴조사를 통해, 백제 사비기 귀족층의 다양한 무덤 구조와 축조순서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또한 그동안 규명되지 않았던 무덤 영역 내 대지 및 봉토 조성 방식을 확인함으로서 추후 유적 정비 및 복원의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사비도성 경외매장지 중, 부여 능안골 고분군 주변의 백제고분 분포 양상과 현황을 밝히기 위한 조사가 지난 3월부터 진행 중에 있다.

조사지역은 능산리 고분군 동편부터 능안골고분군을 포함한 청마산성 남성벽 아래편 사면부 일대로 조사결과, 100여기의 백제고분이 새롭게 확인되어, 부여 능안골 고분군 일대에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백제고분의 분포 밀도 및 범위가 넓게 형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 청마산성(靑馬山城) : 부여읍 능산리, 용정리 일대에 위치한 삼국시대 성곽, 사적 제34호
* 경외매장(京外埋葬) : 도성 밖에 무덤을 조성하는 것

부여군은 앞으로도 문화재청과 함께 능안골고분군을 비롯한 부여지역 핵심유적에 대한 실체 규명을 통해 백제의 역사성을 회복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유적의 보존 및 관리를 순차적으로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