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들어가는 인문사회 분야 살리려면?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학술전담기구’ 절실

2019-04-17 15:58
국내 4개 학술단체·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공동 토론회 개최
“학문간 장벽 높아지고 분리되며 학문 내적 식민지화 돼”
교육부, “올해 2300억원 수준 예산 점차 확대할 것”

인문사회 분야 연구자들의 설 자리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인문사회분야 학술생태계를 활성화시키려면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학술전담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내 4개 학술단체와 서울대 인문학연구원은 ‘인문·사회분야 학술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17일 서울대 글로벌공학교육센터에서 학술정책에 대해 토론했다.

토론회를 주관한 4개 학술단체는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전국국공립대학교인문대학장협의회, 전국사립대학교인문대학장협의회, 전국국공립대학교사회과학대학장협의회 등이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축사에서 “인문사회 학문이야말로 혁신적 포용국가의 핵심”이라며 “인문사회분야 학술생태계를 활발하게 하기 위해 학문후속세대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유 부총리는 “특히 대학에 소속두지 않은 연구자를 지원할 수 있도록 추경 반영에 노력할 것”이라며 “김대중 정부 이후 최초로 학술전담기구를 설립해 학술정책에 큰 그림을 그리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오세정 서울대 총장도 축사에서 “기초학문이 중요하다는 데 누구나 공감하지만 이익을 만들어내지 않는 학문을 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라고 반문하며 “비전임학자들을 위한 ‘국가학술교수’를 만드는 것은 지금도 시점에서 매우 적절하다”고 말했다.
 

[사진=교육부]

이어 윤소영 교육부 학술진흥과장을 필두로 발표가 시작됐다. 윤소영 과장은 “연구비 지원 중심의 기존 정책을 보완해 학문후속세대 연구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며 “기존 3개 지원사업을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로 확대·개편할 것”이라고 교육부의 인문사회 학술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설명했다.

인문사회 학술생태계 활성화 추진 과제로 그는 △인문사회분야 연구지원 강화 및 사회진출 경로 다양화 △과기부와의 협업 통한 융합연구 확대 △생활 인문프로그램 확대 등을 꼽았다.

윤 과장은 “현재 3개 분야 10개 중과제에 대해 2019년 2300억원 수준인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며 “학계가 중심이 돼 학문 전 분야를 아우르는 학술 중장기 비전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박구용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본부장은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제도 정착을 위한 제언’을 주제로 발표했다.

박 본부장은 “학문들 사이의 장벽이 높아지고 분리되면서 학문세계가 국가행정과 자본시장으로부터 내적 식민지화되고 있다”며 “학술지는 많아졌고 실적은 늘어가지만 학술담론은 사라지고 있어 머지않아 국민의 기본권이 침해될 정도로 학문이 붕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그는 “국가의 미래를 책임지는 학자의 삶은 국가가 책임져야 하며 학문정책도 학자들이 구성해야 한다”며 “프랑스의 CNRS처럼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는 새로운 직군으로 구성해 안정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보장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이강재 서울대 중어중문학과 교수는 ‘새로운 학술전담기구는 꼭 필요한가’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 교수는 “과학계에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나 국가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지속적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평가하지만, 인문사회 분야는 중장기적 차원에서 학술정책을 수립할 전담기구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부총리 직속 학술위원회와 학술국가 차원의 학술진흥 및 기초연구력 증진을 위한 정책 조사·분석·평가·기획 업무를 수행하고 비전임 연구인력에 대한 지원도 해야 할 것”이라며 “한국연구재단은 연구비수탁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