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리 그게 뭐예요? 국민 금융이해력 OECD평균 밑돌아
2019-01-28 12:11
20대 금융이해도 높지만 실행능력 떨어져
직장인 A씨는 100만 원을 연 5% 금리로 2년간 은행에 예금하려고 한다. 그가 받는 이자는 단리로 계산하면 10만 원이다. 복리로 계산하면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 정답은 10만2500원이다. 단리는 원금의 이자만을 계산하지만 복리는 이자에 대한 이자까지 계산하는 방법을 말한다. 하지만 한국은행 조사 결과 이를 정확이 이해한 사람은 100명 중 25명에 불과했다. 그만큼 어렵게 느껴졌다는 얘기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우리나라 성인(만 18~79세)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100점 만점 중 62.2점으로 경제협력기구(OECD) 평균(2015년, 64.9점)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지식을 보면 복리 계산이 25.9점으로 가장 낮았다. 반면 이자 개념의 이해는 89.6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위험과 수익 관계(79.9점) △인플레이션의 의미(76.9점) △분산투자 개념(64.7점) △단리 계산(62.6점) △인플레이션과 구매력(60.5점) 점수는 모두 60점을 웃돌았다.
저소득층과 노년층을 비롯한 취약계층의 금융이해력도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별로는 월소득 250만원(연 3000만원) 미만인 계층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58.0점으로 월소득 420만원(연 5000만원) 이상인 계층의 65.6점에 비해 크게 낮았다.
연령대별로는 60~70대 노년층의 금융이해력 점수가 각각 59.6점, 54.2점으로 전체 평균(62.2점)을 밑돌았다.
노년층(60~70대)의 금융지식은 각각 61.6점, 50.2점으로 전체 평균(65.7점)보다 낮고 금융행위도 각각 56.0점, 52.3점으로 전체 평균(59.9점)을 하회했다.
한은은 "저소득층 및 노년층 등 취약계층의 금융이해력이 낮으므로 이들에 대한 경제·금융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며 "대학생과 사회초년생 등 청년층의 현재 및 소비 중시 경향, 돈에 대한 인식 등에 비추어 이들의 올바른 금융가치관 형성을 위한 학교 등 현장에서의 경제·금융교육도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