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 노후는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다

2018-11-13 19:00
김명환 한화생명 경인FA센터 FA

[김명환 한화생명 경인FA센터 FA]


최근 미국의 젊은 엘리트 직장인들 사이에서 30대 말이나 늦어도 40대 초에 은퇴하겠다는 '파이어(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족'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들은 조기 은퇴를 위한 자금을 모으기 위해 소비를 극단적인 방법으로 줄이고 있다.

유통기한 직전의 떨이 식품을 할인가로 구입하는 방법으로 식료품 비용을 월 75달러(약 8만5000원)만 쓴다. 직장은 걸어 다니고, 여행은 카드 포인트를 활용하는 등 생활비를 최대한 아껴 수입의 70% 이상을 저축해서 은퇴자금을 마련한 후 세계 여행을 목표로 삼는 식이다. 일부 고소득 직장인들이 직업에서 만족을 느끼지 못해 삶의 의미를 은퇴 후 생활에서 찾으려는 노력인 것이다.

반면 우리의 경우는 어떠한가. 국민연금 안내장 뒷면을 보면, 국민연금연구원에서 2015년 실시한 제6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결과 부부가 필요한 적정 생활비가 월 237만원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

60세에 은퇴해서 평균수명인 82세까지 22년간 생활하려면 6억원이 넘는 돈이 필요한 것이다. 이런 큰돈을 마련하려면 미국의 파이어족같이 극단적인 절약을 해야 할 것만 같아서 아예 포기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은퇴준비가 남의 얘기처럼 느껴지는 것이다.

하나의 예를 들어보자. 50대 초반의 직장인이 4억원짜리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고, 퇴직금은 약 2억원을 수령할 수 있으며, 종신보험 1억원, 각종 금융자산 1억원 정도를 보유하고 있다면 노후생활을 할 수 있을까.

지난해 국민연금 전체 수급자 469만명의 월평균 연금액은 38만6000원이었다. 퇴직금 2억원을 22년간 연금으로 수령한다면 약 76만원을 수령할 수 있고, 종신연금도 연금전환 특약을 활용한다면 약 40만원을 연금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금융자산도 40만원을 연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동시에 집을 담보로 주택연금을 받는다면 주택가격 4억원을 기준으로 60세부터 종신정액형으로 선택 시 약 82만원을 받을 수 있다. 이상의 금액을 모두 합해보면 약 276만원이 된다. 부부가 필요한 적정 생활비 237만원보다 약 40만원이 많으니 충분히 노후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한 가지 감안해야 할 부분은 국민연금은 연령대별로 다르지만 60~65세부터 지급되고, 앞서 언급했던 연금전환 등으로 받는 연금은 지급시기를 늦출수록 월 수령액이 커진다는 점이다. 결국 일할 수 있는 만큼 일을 하는 것이 재무적으로는 물론 건강, 여가, 대인관계, 자아실현 등을 위해서도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이제 사회생활을 시작한 2030세대의 경우 노후준비를 어떻게 해야 할까. 월 소득의 60%를 저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월 소득의 40%로 생활해야 하는 것이다. 사회 초년생의 그리 많지 않은 급여를 생각해보면 지출 계획을 꼼꼼하게 세워야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지출을 통제하는 것은 상당히 고통스러운 일이기도 하다. 막연히 노후를 위해서, 더 나은 내일을 위해서 감당하기는 힘들다. '7년 후 59㎡ 아파트 대출 2억원 포함해서 마련'과 같은 구체적인 목표가 있어야 가능하다.

그러기 위해서 최근 출시된 청년 우대형 청약저축 가입은 필수다. 현재 만 29세 이하, 연소득 3000만원 이하의 무주택 가구주면 가입할 수 있다. 청약 기능이 있으니 앞으로 무주택자나 신혼부부에게 공급되는 주택에 청약할 수 있고, 10년 만기 시 최대 3.3%의 금리와 이자소득의 500만원까지 비과세되면서 240만원 한도 내에서 40%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으니 금융상품 자체로도 매력적이다.

노후준비와 세액공제 혜택을 누리기 위해 연금저축보험과 퇴직연금계좌(IRP)에 연 700만원까지 납입할 것을 권한다. 또한 소득의 10% 내외 금액으로 위험보장을 위한 실손의료보험과 종신보험에도 가입해야 한다. 암과 같은 치명적인 질병 등이 발생하면 고액의 치료비는 물론 소득도 중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종신보험은 향후 연금전환을 통해 노후자금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두려움은 미지의 존재나 막연함에서 온다. 미리 알아보고 구체적으로 준비한다면 노후는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