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준, 올 들어 3번째 기준금리 인상...내년 추가 인상 전망에 신흥국 비상

2018-09-27 06:10
9월 FOMC에서 0.25%p 인상 방침...올 들어 3번째 인상
"경제 성장 덕에" 2019년 3차례, 2020년 1차례 추가 인상 예고
달러화 부채 상환 부담·자금 유출 우려에 신흥국 경제 적신호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26일(현지시간) [사진=연합/EPA]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들어 세 번째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경제 성장 속도가 견고하다는 판단에 따라 오는 12월에 이어 2019년에도 추가 인상이 가능하다는 입장이어서 신흥국 경제에 적신호가 켜질 전망이다. 

◆ 올 들어 3번째 인상 조치...한국과 금리 격차 벌어져
  
로이터통신,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연준은 25~26일(이하 현지시간) 이틀간 진행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행 1.75~2.00%에서 0.25%p 높은 2.00%~2.25%로 상향 조정했다. 미국 기준금리가 2%대를 넘어선 것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처음이다.

연준의 금리 인상 조치는 지난 3월과 6월에 이어 올해 들어서만 벌써 3번째다. 이에 따라 현행 1.5%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한국의 기준금리와는 0.75%p로 격차를 벌리게 됐다.

시장에서는 이미 금리 인상에 대한 예상이 여러 차례 나왔다. 7월 FOMC에서는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미국 경제에 대해 '강하다(strong)'라는 표현을 반복 사용하면서 연준이 자신감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연준은 경기 확장과 탄탄한 고용지표, 인플레이션 목표치(2%) 등 전망치를 기준으로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이번 FOMC에서 연준은 2018년 미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8%에서 3.1%로 상향 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연준의 향후 금리 인상 속도에도 관심이 쏠린다. 일단 오는 12월에 한 차례 더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 연준은 앞서 지난 6월 금리 인상 당시 연내 2차례 인상 가능성을 예고했었다. 12월 FOMC는 18~19일 양일간 열린다. 

연준의 긴축 기조는 2021년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이미 2019년 3차례, 2020년 1차례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치빈 상태다. 스테이트 스트리트 글로벌 어드바이저스의 수석 투자 전략가인 마이클 아론은 "그간 연준의 통화 정책에서 '완화적(accommodative)'이라는 표현이 삭제될지 여부에 관심이 쏠렸다"며 "해당 표현 대신 중립적으로 나아간다는 점을 잠재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 금리 인상에 따른 강달러 우려에 신흥국 경제 '빨간불' 

연준은 이날 성명을 통해 "감세 정책 등의 영향으로 노동 시장이 계속 강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미국의 실업률은 3.9%로 18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포브스 등 경제매체들은 전했다. 연준의 전망대로 2019년 실업률이 3.5%대로 떨어지면 향후 3년간 인플레이션은 목표치인 2%에 가까운 수준으로 완만하게 상승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통상 기준금리가 오르면 달러화가 강세를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부터 미국 기업의 제품이 해외 경쟁력을 가지려면 약달러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연준의 통화 정책을 비판해온 이유다. 신흥국으로서도 달러화 표시 부채에 대한 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신흥국 내 자금 유출이 심화될 위험성도 높다. 

아시아개발은행(ADB)도 경제 전망 보고서를 통해 "호주 등 일부 선진국을 제외한 아태 지역 45개 국가와 지역의 올해와 내년 경제 성장률은 각각 6%, 5.8% 수준을 보이겠지만 미국 기준금리 인상,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흥시장이 타격을 받으면 미국 경제가 부메랑을 맞을 수 있다는 신중론도 나온다. 터키 리라화를 비롯해 베네수엘라, 브라질 등 신흥시장의 환율이 높아진 상황에서 연준의 긴축 정책으로 신흥국 성장둔화가 지속되면 장기적으로는 미국 경제에도 부담이 된다는 것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FOMC에서조차 2019년 하반기 이후 대규모 감세 정책의 효과가 희미해질 경우 2020년과 2021년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각각 2.0%, 1.8%로 하락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며 "트럼프 정권의 관세 부과 정책으로 인해 향후 미국 경제가 하락할 위험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연준조차도 미·중 무역전쟁을 비롯한 글로벌 통상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투자와 고용, 소비 등에 타격을 줄 수 있는 만큼 미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흥국 경제 하방에 따른 비관론까지 겹치면서 향후 긴축 속도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