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푸어라면 고소득자라도 ‘한계소비성향’ 높아

2018-07-30 12:00
저소득층 높고 고소득 낮다는 편견 깨져
가계부채 비중 높아 일률적인 결정 안돼

[사진=연합뉴스]


소득이 높을수록 가계의 한계소비성향이 낮다는 통념이 깨졌다. 고소득층이라도 가계부채가 높을 경우 한계소비성향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가계의 레버리지와 유동자산이 한계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보면 소득이 낮은 가계뿐만 아니라 소득이 높은 가계라도 부채가 많거나, 유동자산이 적으면 한계소비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간 한계소비성향은 저소득층일수록 높다고 정의돼 왔다. 한계소비성향이란 새로 늘어난 소득 중 소비에 쓰는 돈의 비율을 말한다.  저소득층의 경우 여유가 없다보니 저축 대신 버는 만큼 소비한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 우리나라는 가계부채가 높은 수준에 있고, 부동산 등 비유동자산을 선호하고 있어 가계의 한계소비성향이 소득에 따라 일률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는 결론이 나왔다. 즉 소득이 적고 많고를 떠나 보유 자산이 부동산에 쏠려 있거나 빚이 많은 경우 소득 증감에 민감하게 반응한단 얘기다. 

레버리지는 금융부채와 임대가구의 전세보증금을 더한 값을 총자산으로 나눈 것을 말한다. 전체 자산 중 빚의 비중을 말한다. 유동자산비율은 현금과 요구불예금, 주식, 채권, 펀드를 더한 값을 세후 월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현금성자산 비중으로 보면 된다.

송상윤 경제연구원 금융통화연구실 부연구위원은 “부채가 많고 유동자산이 부족한 가계의 경우 부채상환을 위해 소득이 증가하더라도 소비를 늘리지 못한다”면서 “소득이 감소하면 소비를 많이 줄이게 돼 소득증감에 따라 한계소비성향이 비대칭적으로 나타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부채가 많고, 유동자산이 부족한 가계의 한계소비성향이 높다는 분석결과는 비유동자산을 선호하고, 가계부채 수준이 높은 우리 경제에서 가계소비가 소득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말한다”며 “이들 가계의 비중이 확대되는 경우 경기침체 국면이 장기화 또는 심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012년부터 2017년까지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이용했다. 소득은 세후월소득, 소비는 식료품비(외식비 포함), 교육비, 교통비, 차량유지비, 의류와 문화 등 기타 소비지출을 다중회귀분석 등을 통해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