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칼럼] 성장통 겪는 中 3차산업에 기회
2018-07-18 18:17
중국은 세계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숨가쁘게 구조조정을 단행해왔다. 성장 패러다임도 고도성장에서 안정성장으로 바뀌었다. 중국은 애초 저임금 노동력과 대규모 자본투입을 통해 고성장을 유지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국내총생산(GDP)을 세계 2위로 끌어올렸다.
상황은 2010년대로 들어서면서부터 달라졌다.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자본효율성 저하가 발목을 잡고 있다. 고도성장 과정에서 기업 부채가 천문학적으로 불어났다. 과도한 차입에 기대서 성장한 부동산 시장은 버블 우려를 증폭시켜 왔다. 기업여신 부실화는 '그림자 금융'으로 대변되고 있다. 경기위축에 대응하려고 확대한 인프라 투자는 국유기업과 지방정부 재정을 망가뜨렸다.
당장 중국 주식시장이 불안한 가장 큰 이유는 GDP 성장률 둔화다. 2017년만 해도 GDP 성장률이 전년보다 0.2% 포인트 높은 6.9%를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2분기 성장률은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6.7%에 그쳤다. 3개 분기 만에 다시 둔화하기 시작한 것이다. 고정자산투자와 소매판매 성장세가 약화된 영향이 컸다.
성장률 둔화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기선행지수는 올해 4월 기준선을 밑돌기 시작했다. 세계적으로 경기 성장세가 꺾이고 있다는 신호로 읽을 수 있다. 여기에 하반기 들어서는 미·중 무역분쟁으로 교역량이 더욱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금융시장에서 불안감이 커질 수밖에 없다. 세계적인 경기 둔화 가능성과 함께 중국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구조조정 정책도 부담을 주고 있다.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온 굴뚝산업은 환경 규제와 최저임금 인상까지 겹쳐 더욱 고전하고 있다. 미국을 제외하면 세계 곳곳에서 경기 둔화가 가시화되고 있고, 이는 하반기에도 중국 주식시장을 억누를 것이다.
다만, 중국 당국이 강력한 긴축정책에서 돌아서 완화적인 대책을 내놓고 있는 점은 다행스럽다. 얼마 전 중국 인민은행은 온건·중립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 긴축 강도를 줄이기로 했다. 이는 하반기 금융시장 리스크를 줄여줄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이런 통화정책을 바탕으로 경기 안정을 꾀할 것이다. 이미 지급준비율이 올해 들어 3차례 인하됐다. 신용경색으로 고전하던 중소기업을 위한 것이다. 중국은 양호한 재정건전성을 감안할 때 통화정책을 탄력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경기 여건에 따라 추가적인 공개시장조작이나 지준율 인하에 나설 것이다.
길게 보면 중국 주식시장은 2000년대와 같은 기회를 다시 줄 수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자료를 보면 중국은 2017년 1인당 GDP를 8836달러까지 늘렸다. 1년 전보다 6.3% 많은 액수다. 중국이 GDP 성장률을 6% 이상으로 유지할 경우 1인당 GDP는 2023년 이전에 1만2000달러를 넘어설 것이다. 이러는 과정에서 중국 경제는 1970년대 미국처럼 지속가능한 성장 구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지금은 성장통을 겪는 시기다. 과도한 부채와 노동력 부족, 자본생산성 하락 같은 구조적인 문제점을 하나하나 풀어야 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기회를 줄 수 있는 것은 3차산업이다. 이미 3차산업은 2012년 2차산업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GDP에서 가계소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3차산업을 중심으로 한 내수성장에 주목하고 있는 이유다. 인구구조를 봐도 핵심 소비층인 20대 중반부터 40대까지가 가장 많다. 산업고도화가 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임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중국은 '제조 2025'와 '인터넷 플러스', '국가전략 신흥산업 육성' 같은 고부가가치화 전략을 바탕으로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