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마린온' 추락참사 조사 착수… 기체 결함 가능성도 열어둬

2018-07-18 11:10

[해병대용 상륙기동헬기 마린온. 사진=해병대]


해병대가 17일 시험비행 중 추락해 5명의 인명피해를 낸 상륙기동헬기 '마린온' 사고 조사에 착수했다.

해병대는 17일 저녁 해병대와 해군, 공군, 국방기술품질원, 육군 항공작전사령부 등 5개 기관이 참여하는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사고 조사에 착수했다고 18일 밝혔다.

조사위원장은 조영수 해병대 전력기획실장(준장)이 맡는다. 조사위는 우선 사고 목격자 등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사고 정황을 탐문할 계획이다.

사고 헬기 조종사는 비행시간이 3300시간에 달하고 미국 비행시험학교까지 졸업했기 때문에 조종 미숙으로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는 게 조사위의 시각이다. 이렇다 보니 기체 결함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사고 헬기는 올해 1월에 해병대에 도입된 마린온 2호기다. 이번 사고로 하반기 해병대가 마린온 2대 추가 도입한다는 계획이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 사고 조사 결과에 따라 매년 4~6대를 도입, 오는 2023년까지 마린온 28대를 전력화한다는 계획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마린온의 원형인 육군 기동헬기 수리온도 2012년 말 전력화 이후 크고 작은 사고를 내며 결함 논란에 휩싸였었다. 2015년 1월과 2월 수리온 12호기와 2호기가 엔진과속 후 정지 현상으로 비상착륙했고, 같은 해 12월에도 수리온 4호기가 같은 현상으로 추락했다.

2014년 8월에는 수리온 16호기가 프로펠러와 동체 상부 전선절단기의 충돌로 파손돼 엔진이 정지했다. 이 밖에 2013년 2월부터 2016년 1월까지 5차례의 윈드실드 파손 사례가 보고됐고, 기체가 진동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프레임(뼈대)에 금이 가는 현상이 발생했다.

문제가 지속해서 발생하자 감사원의 감사가 진행됐다. 지난해 7월 감사원은 수리온이 결빙성능과 낙뢰보호 기능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비행 안전성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했다며 전력화 재개 결정을 내린 장명진 방사청장 등에 대해 수사를 요청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수리온의 개조형인 마린온이 추락하자 수리온 계열 헬기의 안전성을 전반적으로 점검해야 봐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수리온에서 파생된 헬기로는 의무후송용과 산불 진화용 헬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