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안전불감증 여전… 사망·부상 사고 올해도 증가 추세

2018-07-12 14:41
10대 건설사 점유율 절반, 시공능력 상위권 대기업 기강 해이 지적도

지난달 세종시의 한 주상복합 신축 공사장에서 불이 나 소방 관계자들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사진=아주경제 DB]

지난달 26일 세종시 한 주상복합아파트 신축 공사장에서 불이 나 인부 3명이 숨지는 등 모두 40명의 사상자를 냈다. 당시 소방당국은 재산 피해액을 32억여 원으로 추정했다. 앞서 5월 말에는 D건설이 시공사로 참여한 경북 영주시 우회도로 공사장에서 상단횡배수관 연결 작업 중 1명이 사망했다. 일각에서는 안전관리 소홀이란 비판이 일었다.

건설현장에서 해마다 사망·부상 사고가 이어지고 있지만 안전불감증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고용노동부가 집계한 '2018년 100대 건설업체 사망재해 발생 현황'을 보면, 올해 상반기 총 31건의 사고가 일어나 모두 35명이 숨졌다. 이는 2017년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각각 3.3%(1건), 2.9%(1명) 늘어난 수치다.

정부는 산재 발생률 3위인 건설업계를 향해 문제의 심각성을 거듭 지적한 바 있다. 100대 시공사를 대상으로 매년 사망사고 20% 감축을 위한 목표관리제도 실시 중이다. 작년 2월 건설사고 예방을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민관합동 협의체인 '중앙 건설안전협의회'를 발족시키기도 했다. 하지만 불미스러운 일이 끊이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이다.

시공능력 상위권의 대기업들의 기강 해이가 더욱 심각했다. 올 6월말 기준 포스코건설은 사고 5건, 사망 8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 2일 부산 해운대 엘씨티 복합개발 현장에서 건물 외벽 작업대를 올리던 중 구조물이 무너져 4명이 함께 추락해 숨진 게 대표적이다. 또 3월에는 인천에서 콘크리트 펌프카 지반침하로 전도, 부산의 모 터널 바닥 설치 도중 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에 맞아 1명이 사망했다.

특히 10대 건설사의 점유율이 절반(전체 35명 중 19명) 가량을 차지했고, 이 역시도 증가 추세였다. 현대건설, 대우건설, 롯데건설은 지난 6개월간 각 2명씩의 사망 사고가 있었다. 이외 삼성물산, 대림산업, GS건설,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산업개발 등은 각기 근로자 1명이 숨졌다. 대부분 연초 잡았던 자체 사망감소 목표치를 이미 넘어섰다.

업계는 이런 사망재해 주요 원인으로 △비계획 작업, 작업내용 변경 등에 따른 새로운 위험요인 발굴 실패 △신공법 적용, 구조물 시공 시 설계단계의 위험원 제거 미흡 △정보 공유 등 작업자간 의사소통 체계 공백 △원가관리 최우선, 안전무시 관행 지속 △기술·공하적 원인에 의한 표면적 원인분석 및 재발방지 대책 한계 등을 꼽았다.

한 업체 관계자는 "무엇보다 대형건설사의 사망자 수 증가는 정부나 업계 전반적으로 우려하는 부분"이라며 "관리감독 소홀이나 설계기준 미준수 등 현장의 허술한 관리체계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고 말했다.
 

  2018년 상반기 건설업체별 사망재해 발생 현황.[이미지=노동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