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년 전 북·미회담은 어땠나…조명록-클린턴땐 수교 논의도

2018-05-30 16:56

2000년 10월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과 만난 조명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북한 인민군 차수) [사진=연합뉴스]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북한 최고위급으로는 18년 만에 미국을 방문,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의 회담 결과에 따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직접 만난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단절돼 온 북·미 관계에 새시대가 열릴 조짐이 보이고 있다. 

이에 처음 성사됐으나 끝내 정상회담으로 이어지지 못한 역사상 첫 북·미 최고위급회담이 재조명되고 있다.

북·미 간 첫 최고위급회담이 이뤄진 건 2000년 10월 조명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북한 인민군 차수)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미국을 방문하면서다.

2000년대는 첫 남북정상회담 이후 한반도에 평화 분위기가 무르익던 무렵으로, 현재와 여러모로 상황이 비슷했다. 당시 북·미 간에는 정상회담뿐 아니라 수교 논의까지 이뤄졌으나, 미국 정권이 바뀌면서 결국 무산된 바 있다. 

조명록 부위원장은 당시 북한 권력 서열 2위로 꼽혔던 인물이다. 

미국을 방문한 그는 미국에서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은 물론 빌 클린턴 대통령과도 만나 북·미 수교 등을 논의했다.

백악관에서 이뤄진 클린턴 대통령 접견 당시 조명록 부위원장은 인민군 정복차림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기도했다. 

당시 회담 이후 북·미 관계는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다.

조명록 부위원장과 클린턴 대통령은 북·미 간 상호 주권 인정과 적대관계 청산, 클린턴 대통령의 방북 추진 등을 뼈대로 하는 '북·미 코뮈니케(공동성명)'를 발표했다. 

이어 같은 달 올브라이트 장관이 평양을 방문,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나 클린턴 대통령의 방북까지 논의하는 등 북·미정상회담 직전에 이르렀다. 

그러나 바로 다음 달 북·미 관계는 다시 제동이 걸렸다.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의 조지 W 부시 후보가 승리하면서 2차 핵위기가 발발된 것이다. 

이후 북·미 간 모든 교류가 급속도로 얼어붙으며 양국 관계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과거 실패했던 수많은 한반도 비핵화 과정과 마찬가지로 시기가 맞지 않아 불발된 것이다. 

이에 이번의 북·미 접촉은 과거의 전철을 밟지 않고 해피엔딩을 이룰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진다. 양측이 과거의 실패사례를 자양분 삼아 속도감 있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협의를 이뤄가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의 대미 협상 창구 역할을 맡아온 김영철 부위원장이 미국으로 향하면서 북·미 채널은 판문점·싱가포르에 이은 ‘3트랙’으로 동시 가동되게 됐다. 

김영철 부위원장은 뉴욕에 도착한 뒤 뉴욕에서 카운터파트 역할인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최고위급회담을 열고 북·미정상회담 의제를 막바지 조율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철 부위원장은 30일 경유지인 베이징에서 뉴욕으로 곧장 향했다.

북·미 최고위급회담 장소가 워싱턴이 아닌 뉴욕으로 결정된 건 유엔주재 북한대표부가 뉴욕에 상주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북한 측에서는 대표부를 거치면 회담 결과를 도·감청당하지 않고 평양에 곧장 보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뉴욕을 선호했을 거라는 관측이다.

또한 미국 국무부도 폼페이오 장관이 회담을 위해 30~31일 1박 2일 일정으로 뉴욕을 방문한다고 밝혔다.

한편 북·미 간 첫고위급회담을 성사시킨 조명록 부위원장은 사망 전까지도 김씨 일가와 깊은 인연이 있었던 인물이다.

그는 1938년경부터 김일성의 빨치산 부대에서 전령병, 호위병으로 근무하는 등 해방 전부터 김일성·김정일과 고락을 함께했던 빨치산 1세대다. 

2010년 조명록 부위원장의 사망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직접 장의위원장을 맡을 정도로 신임이 두터웠던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김정일의 건강이 악화됐다는 이야기가 퍼지며 인터넷, SNS 등을 통해 ‘북한에서 조명록이 쿠데타를 일으켰다’는 내용의 루머가 퍼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