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 "자본조달, 국내보다 해외가 좋아"

2018-05-17 19:00
올해 국내 채권발행 76% 줄어
투자 여력 고갈·금리 부담 이유

[사진=금융투자협회]


지난해부터 시작된 해외 신종자본증권 발행이 보험사들의 새로운 자본조달 방식으로 떠올랐다. 올해도 많은 보험사들이 해외 자본조달에 나서고 있어 국내 시장에서의 자본조달 규모는 대폭 줄어들 정도다.

지난해 보험사가 국내 시장에서 채권발행으로 조달한 자본 규모는 2조 4270억원으로 역대급 수준이다. 이전까지 건전성에 한계를 맞은 중소형 보험사만 채권 발행을 고민하던 분위기에서 벗어나 한화‧농협생명 등 대형 보험사도 각각 50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신종자본증권 발행을 단행했다. IFRS17(국제회계기준) 등 건전성 규제 강화를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다.

이를 감안하면 보험사의 국내 채권발행이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지만 오히려 잦아드는 분위기다. 올해 초부터 지난 15일까지 약 5개월 동안 보험사의 채권발행 규모 합계는 2900억원(4건)에 불과하다. 지난해 같은 기간 1억1910억원(12건) 대비 75.65% 줄어든 수준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대부분 보험사들이 국내보다 해외 시장에서 자본조달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교보생명이 처음 시도했던 해외 신종자본증권 발행이 보험업계의 대세로 굳어졌다.

국내 보험사의 해외 신종자본증권 발행은 2014년 코리안리가 처음으로 성공했다. 당시 코리안리는 2억 달러 규모의 해외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단행했다. 그러나 코리안리는 해외 재보험 수재(계약)를 위한 신용등급 상향을 위해 해외 자본조달에 나선 것으로 최근 보험사들의 해외 자본조달 목적과는 차이가 있다.

지금처럼 건전성 위협 대비 목적으로 해외 자본조달이 부각된 것은 지난해 교보생명이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성공하면서부터다. 지난해 7월 교보생명의 5억 달러 신종자본증권 수요조사에는 11배에 육박하는 54억 달러의 수요가 몰렸다.

이어 흥국생명이 중소형 보험사도 해외자본 조달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다. 교보생명의 경우 대형 보험사이면서 몇 년 전부터 해외 신용등급을 관리해왔기 때문에 예외적으로 해외에서 자본을 조달했다는 인식이 없지 않았다. 그러나 중소형 보험사인데다 처음 받은 해외 신용등급을 가지고서도 흥국생명이 5억 달러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성공하면서 대부분 보험사가 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게 됐다.

그 결과 올해는 상반기부터 대규모 해외 신종자본증권 발행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4월에는 한화생명이 10억 달러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성공했고, 이달에도 KDB생명이 2억 달러 규모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마무리지었다. 현대해상과 동양생명도 최근 해외 신용등급을 받고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보험사들이 해외 시장을 고집하는 이유는 국내 조달시장의 여력과 금리 부담 때문으로 분석된다. 대부분 보험사가 자본확충에 나서다보니 연기금 등 보험사에 투자할 만한 투자자의 자금이 이미 고갈되면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이 같은 투자 여력 고갈은 자연스레 금리 부담 가중으로 이어졌다.

실제 흥국생명이 지난해 3월 국내 시장에서 1000억원 규모 후순위채 발행을 추진했으나 적당한 투자자를 찾지 못해 철회하기도 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최근에는 국내 시장보다 투자자 풀이 넓은 해외 발행이 우선시되고 있다"며 "해외에서도 투자 여력이 고갈될 때까지 발행이 이어지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사진=각 금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