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정상회담 장소 '2곳'으로 압축…외신들 "싱가포르·몽골 유력"

2018-04-28 14:53
김정은 유학한 스위스 제네바도 여전히 유력

백악관 "트럼프-김정은 회담 준비에서도 굳건한 논의 지속 고대"백악관은 27일(현지시간) 판문점에서 이뤄진 남북 정상의 역사적 만남에 대해 "한반도 전체를 위한 평화와 번영으로 가는 진전을 이루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2017년 12월 북한이 배포한 김정은 위원장과 2018년 2월 8일 촬영한 트럼프 대통령의 사진을 합성한 것.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이하 현지시각) 북·미 정상회담 개최 후보지가 "2곳으로 압축됐다"고 언급하면서, 회담 후보지로 거론된 스위스 제네바, 스웨덴 스톡홀름, 싱가포르, 몽골, 괌 등 5곳이 주목받고 있다.

하루 전날만 해도 후보지가 '5곳'이라고 거론하던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에는 '2∼3곳', 오후에는 '2곳'이라고 언급하는 등 4·27 남북정상회담 직후 장소 선정 작업이 급진전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CNN 방송은 이날 북·미 정상회담 장소 관련 전문가 발언을 인용해 "최종 결론에 도달해봐야 알겠지만, 미국 행정부 관계자들은 싱가포르를 선호하고 있다"면서 중국과 한반도는 중립적이지 않아 보인다는 이유로 배제됐다고 보도했다.

CNN은 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소련제 전용기가 논스톱 비행이 어렵다는 점을 이유로 유럽 국가가 선정될 가능성이 낮다는 행정부 관계자의 전언을 소개했다. 뉴욕타임스(NYT) 역시 26일 한국과 미국 정부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해 싱가포르가 가장 가능성이 크다고 보도한 바 있다.

싱가포르는 1993년 4월 왕다오한(汪道涵) 중국 해협양안관계협회 회장과 구전푸(辜振甫) 대만 해협교류기금회 이사장간의 양안 첫 공식회담과 함께 2015년 11월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마잉주(馬英九) 전 대만 총통간 양안 분단 66년만의 첫 정상회담이 열린 곳이다.

싱가포르는 비교적 중립적 중재회담을 치를 수 있는 곳으로 평가되며, 국제 항공교통의 허브로 미국 대통령의 전용기인 에어포스원이나 북한의 구소련시대 비행기의 보수 정비를 모두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북한이 힘을 실고 있는 몽골도 유력한 후보지 중 하나로 꼽힌다. 미국 CBS방송은 싱가포르와 함께 몽골이 미북 정상회담의 최종 후보지로 고려된다고 전했다. 외신에 따르면 몽골 정부는 북·미 정상회단 개최지 제공에 의욕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미국은 몽골이 북한의 우방이라는 점과 숙박과 경호 인프라가 취약하다는 점 때문에 반대한다는 해석이 나온다. 

일본 교도통신은 스위스 제네바도 여전히 유력한 후보지라고 보도했다. 영세중립국인 스위스는 김정은 위원장이 학창시절 유학한 곳으로, 북미회담 개최가 성사된 직후부터 유력 후보지로 거론돼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