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엇식 '먹튀' 막을 장치 만들어야"
2018-04-25 18:40
엘리엇식 '먹튀'를 막을 장치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간판기업마다 딴지를 걸어 배를 불리고 있다는 것이다.
황재원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25일 "엘리엇 같은 행동주의 펀드는 주식을 사들여 의결권을 확보한 뒤 자사주 매입이나 사업전략 변경, 지배구조 개선을 요구하는 식으로 이익을 내는 전략을 취한다"고 지적했다.
행동주의 펀드가 아시아 지역에서 활개를 치는 이유는 간단하다. 상대적으로 기업가치가 저평가돼 있는 아시아 지역 상장사는 좋은 먹잇감이기 때문이다. 지배구조 문제로 경영에 개입해 주주환원을 요구하기에도 유리하다. 황재원 부연구위원은 "행동주의 펀드가 아시아 지역에서 성공하는 확률이 높아진 점도 이유"라고 말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도 "엘리엇이 삼성이나 현대차 같은 한국 기업을 반복적으로 공격하는 것은 재벌 기업이 공격하기 쉬운 지배구조를 가졌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그는 "우리 재벌은 대부분 순환출자 구조로 얽혀 있다"라며 "총수 일가가 상당히 낮은 지분으로 전체 기업집단을 지배하는 상황에서는 타깃이 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정부 정책에도 허점이 크다고 지적이 있다. 재벌 개혁을 내세운 상법과 공정거래법 개정은 외국계 헤지펀드에게 기회를 줄 수 있다. 집중투표제 의무화와 감사위원 분리선출에 따른 역효과가 대표적이다.
한국경제연구원도 이를 우려하는 자료를 내놓았다. 집중투표제를 도입하면 10대 재벌 가운데 4곳, 감사위원 분리선출을 실시할 경우에는 6곳이 외국계 헤지펀드 공격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기관투자자를 중심으로 도입하고 있는 스튜어드십코드도 헤지펀드 공격을 부추길 수 있다.
차등의결권 같은 경영권 방어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커지는 이유다. 보통 1주에 1개 의결권을 주지만, 차등의결권 주식은 복수 의결권을 부여한다.
설립자나 경영자는 적대적인 인수·합병(M&A) 시도로부터 경영권을 보호하면서 장기적인 목표에 따라 안정적으로 경영전략을 펼칠 수 있다.
포이즌필도 대안으로 꼽힌다. 마찬가지로 적대적인 M&A를 막기 위해 기존 주주에게 시가보다 싼 가격에 지분을 매수할 수 있도록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다.
기업 스스로도 반성할 필요는 있다. 최재호 나이스신용평가 연구원은 "그동안 정부는 지배구조 개혁과 관련한 가이드라인을 잘 제시해왔지만, 정작 대기업 대주주는 충분히 대비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엘리엇뿐 아니라 다른 외국계 헤지펀드도 공격 수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행동주의 펀드는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 걸쳐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