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칼럼] 정보의 홍수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을까?

2018-04-03 16:46
박병철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장

박병철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장 [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지금 우리는 21세기 4차 산업혁명시대에 살고 있다. 인터넷이라는 도구로 수없이 많은 정보에 접속해서 살고 있다는 이야기다. 정보에 접속하지 않고 살 수도 있겠지만 삶의 질과 편리함에 익숙해진 현대인은 점점 더 정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다만 이제는 너무 많아진 정보의 홍수 속에서 얼마나 빠르고 쉽게 원하는 정보를 얻어내는지가 또 다른 중요한 기술이 되고, 이를 '데이터 마이닝', '빅데이터 처리'라는 용어로 부르고 있다.

잠시 돌이켜 생각해 보면, PC라고 부르는 퍼스널 컴퓨터와 인터넷이 범용화된 것이 30년이 채 되지 않았다. 당시에는 IBM, SONY, 델, NEC, 루슨트 테크놀로지(Lucent Technology) 등이 지금은 너무나 익숙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보다 더 유명했다. 지금은 스마트폰의 시작으로 더 이상 애플도 컴퓨터 회사라고 인식되지 않고 스마트폰 회사로 인지되고 있다. 아이폰이 등장한 지 이제 겨우 10년 만의 일이다. 지금은 잊혀 가고 있는 노키아가 세계 셀룰러폰 시장의 절대 강자였다는 것과 스마트폰의 흐름에 역행한 경영진의 뼈아픈 선택으로 몰락한 대기업의 대표적인 경영 실패 사례로 언급된다는 사실마저 이제는 해묵은 뉴스일 뿐이다.

이제는 컴퓨터보다 익숙한 스마트폰 웹서핑으로 인류가 1분 동안 사용하는 메시지가 330만건이고 13만 시간의 동영상이 조회되고 있다. 인류에게 전화가 보급되고 사용자가 5000만명에 도달하는 데는 75년이나 걸렸는데, 스마트폰게임 ‘앵그리버드’가 5000만 가입자를 확보하는 데는 35일밖에 걸리지 않았다는 소식도 있다. 전 세계 7500만개의 서버가 서로 연결되고 인터넷에서 이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전력량이 전 세계 전력량의 10%라고 하니 인류가 얼마나 여기에 집착하고 있는지도 알 수 있다.

해킹·피싱·스미싱으로 대표되는 인터넷 범죄는 중국·북한·러시아가 전 세계를 리드하고 있는데, 북한의 인터넷 사용 인구가 1%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은 아이러니와 함께 씁쓸한 느낌이 든다. 재미있는 사실은 세계 인터넷 망의 실질적인 위협은 바닷속의 상어로, 이들이 해저케이블을 물어뜯어 접속 자체를 차단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해저케이블 관리자들을 힘들게 만드는 결과로 이어지는 것이다.

인터넷 가상공간에서 익명성을 무기로 거짓 뉴스와 악의적으로 가공된 정보를 피해서 탁월한 식견과 직관만으로 진실과 유용한 정보를 추려내는 것을 기대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렇다고 인터넷 접속을 끊고 고고하게 살기에도 현실적으로 자신이 없다. 정보의 진실한 가치와 신뢰를 확인하는 쉽고도 불편한 진실이 있다. 모든 정보는 출처와 근거를 가지고 있어서 이를 판단 근거로 활용하면 거짓 뉴스나 악의적으로 편집된 정보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할 수가 있다.

물론 이런 가치 판단의 기준과 정보도 또 하나의 정보로서 각자가 판단해야 한다. 오늘날 실체가 애매모호한 수많은 거짓정보와 경박하지만 솔깃한 저급한 소식이 눈과 귀를 어지럽히는데, 우리가 신뢰할 만한 출처와 근거로 무엇이 그리고 어디에 있는지 곰곰이 따져볼 일이다. 몇 년 후 멸종된 공룡처럼 도태되지 않고 인터넷 정보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한 지혜가 절실히 필요함에 불구하고, 게으른 농부가 저녁노을을 본 것처럼 조급한 실정이다. 이 문구를 되새겨야 할 것이다. “The truth is beyond t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