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왁자지껄] 30년 만의 안방 올림픽…"성공적 대회였지만 경기장 사후활용 과제도"

2018-03-19 14:51

지난 2월 9일 열린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개막식 전경. [사진=평창올림픽조직위원회 제공]


한국에서 30년 만에 열린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및 패럴림픽(장애인 올림픽)'이 지난 18일 폐회식과 함께 모두 마무리됐다.

지난달 열린 동계 올림픽은 역대 최다인 93개 참가국들이 15개 종목, 총 102개의 금메달을 놓고 열띤 경쟁을 펼쳤다. 이달 패럴림픽도 최다 규모인 49개국, 567명의 선수가 참가했고, 총 20개국 장관급 이상 외빈 29명이 방한할 만큼 성대히 치러졌다.

청와대는 이번 올림픽과 관련 "올림픽 정신을 가장 잘 구현한 대회였다"며 "문화 역량, 첨단 기술, 성숙한 시민의식을 보여 국가 이미지를 제고했다. 북한의 참가, 단일팀 구성 등을 통해 한반도 평화에 대한 기대도 높였다"고 강조했다.

이번 평창 대회는 비단 대회 규모를 제쳐두더라도 역대 어느 올림픽과 비교해 손색없고 성공적으로 치러졌다는 평을 받고 있다. 평창올림픽조직위원회,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등 대회 주체, 선수단 및 관계자, 관람객 등 3자 간의 상호 조화가 잘 이뤄진 대회기 때문이다.

평창, 강릉 일대의 올림픽 시설 및 인프라가 잘 정비돼 관람객들의 만족도가 높았고, 이렇다 할 범죄나 치안 문제 발생 없이 대회가 안전하게 치러진 점도 한몫했다.

특히 이번 올림픽은 개회식에도 드러났듯 제한된 예산으로도 얼마든지 수준 높은 대회 운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대회였다. 이는 조직위와 현장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정확한 의사결정이 없다면 어려웠을 일이다.

하지만 올림픽 이후 극복해야 할 과제도 남았다. 특히 경기장 사후활용 방안 논의는 해결이 만만찮아 보인다.

평창 올림픽 경기장 및 시설물은 막대한 세금이 투입됐지만, 상당수가 매각 또는 철거되는 것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졌다. 국내 동계 스포츠 저변이 취약해 유지비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강원도는 향후 동계아시안게임 남북 공동 개최 등을 염두에 두고 경기장 시설을 유지하는 쪽으로 방향을 튼 상태다. 도는 정부와 예산 지원, 세부적 시설 운영 방안 등에 대해 협의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일정 수준 이상의 국비 소진이 불가피한 만큼 경기장 운용 주체가 강원도가 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양측이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산림 회복도 대표적 난제다. 알파인 경기장이 위치한 가리왕산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될 만큼 생태적 가치가 높은 곳으로, 스키장 조성단계부터 환경단체의 거센 반발이 있어 왔다.

이는 당초 평창 일대 기존 스키장이 국제 대회 규격에 못 미치자 정부가 2000억원을 투입해 일대 천연 보호림을 밀고 새로 만든 것이다. 이번 올림픽에서 경기장으로 사용된 가리왕산은 복원을 위해 향후 55년간 477억원이 투입된다.

하지만 강원도가 제출한 복원 계획이 산림청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복원 비용 부담을 두고 정부와 강원도가 서로 미루고 있어 이를 둘러싼 책임 논란도 불가피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