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정세 변화에 다급해진 일본...북핵위협론 이어 '사이버공격론' 주장
2018-03-12 13:36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북미정상회담 가능성 등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가 급변하는 가운데 일본 정부가 '북핵위협론'에 이어 '북한 사이버공격론'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 그간 정치적 위기를 맞을 때마다 '북한 카드'를 꺼내들었던 만큼 '재팬 패싱'을 경계하려는 뜻으로 풀이된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12일 보도를 통해 "북한 정권은 지난 1998년부터 일본을 포함한 해외 인사에 대한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해킹 임무에 임하는 전문 인력 수천명을 배치한 사이버부대를 운영해오고 있다"며 "최근에는 소프트웨어 개발 수준 등 활동 범위가 다변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닛케이가 탈북자를 인용,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북한의 사이버부대는 1998년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시로 만들어진 121부대다. 이 부대는 해외 주요 인사의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해킹 등에 투입됐다. 이후 김정은 위원장의 지시로 121부대의 부대원 500여명을 중심으로 하는 180부대가 구성됐다.
그동안 국제사회는 가상화폐 해킹 등 국제제재에 맞선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주목해왔다. 강경한 대북제재가 확대되면서 돈줄을 죄고 있는 상황에서 비교적 국제 거래 장벽이 낮은 가상화폐를 범죄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주장이 확대된 데 따른 것이다.
실제로 사상 최악의 피해로 추산되는 일본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체크' 해킹 사건에 북한이 연루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추측에 외신들이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북한은 지난해 5월에 전세계에 타격을 준 '랜섬웨어' 공격, 2014년 소니엔터테인먼트 해킹 배후로도 지목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