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硏 “청년층 일자리 없고 빚만 늘어”
2018-02-18 12:45
비정규직 비중 8년새 10%포인트 상승
소득 줄어 소비 못해…우울증 환자 늘어
소득 줄어 소비 못해…우울증 환자 늘어
저성장이 지속되면서 청년층의 경제활동이 심각하게 제약받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일자리가 없어 소득이 줄어들면서 빚만 늘어나고 있다. 양질의 일자리와 맞춤형 채무조정 개산방안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8일 ‘청년층 경제활동 제약의 5대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청년층은 취직‧창업 등 일자리 전반에 걸쳐 참여가 어렵다”고 밝혔다.
대졸자 중 휴학 경험 인원은 2010년 115만명에서 지난해 130명으로 늘었다. 취업이나 자격시험 준비를 위한 휴학 비중은 2015년 20.2%에서 지난해 30.1%로 확대됐다.
청년의 비정규직 비중은 2007년 54.1%에서 2015년 64%로 상승했고, 30세 미만이 창업한 기업의 3년 생존율은 27.5%로 전체 연령층의 3분의 2수준이다.
실업률은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청년 체감실업률은 22.7%로 공식 실업률(9.9%)과 전체 연령층의 체감실업률(11.1%)의 두배를 넘겼다.
일자리가 변변치 않다보니 부채는 늘고 소득은 줄어들고 있다. 전체가구 평균 부채는 2012년 5450만원에서 2016년 7022만원으로 29% 증가했지만, 30세 미만은 1283만원에서 2385만원으로 86% 증가했다. 학생 1인당 대출액은 감소세지만, 연체잔액은 여전히 490만원 수준에서 줄지 않고 있다.
30세 미만 경상소득은 2013~2014년 이후 감소해 2016년에도 전년과 유사한 3279만원을 기록했다. 연구원은 “청년 비정규직 채용은 확대됐지만, 비정규직에서 전체 임금 대비 29세 미만 임금 비율로 평가한 임금수준은 정규직에 비해 크게 하락하는 등 임금수준이 악화됐다”고 분석했다.
빚이 늘고 소득이 감소하면서 청년층은 소비를 못하고 있다. 청년가구 소비지출은 2013년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있다. 장기간 구직 활동 때문에 청년층은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같은 스트레스성 질환 환자수도 급증하고 있다.
홍준표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층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노력을 지속하고, 소득안정 뿐 아니라 이자비용 등 비소비지출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며 “청년 맞춤형 채무조정 개선방안과 금융교육 등을 도입‧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