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 뉴욕타임즈 "북한 참가에 외교전 총동원"

2018-02-09 18:09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 참가하는 북한 선수단의 공식 입촌식이 열린 지난 8일 오전 강릉 올림픽선수촌에서 피겨스케이팅 페어 렴대옥 등 북한 선수단이 행사가 끝난 뒤 무대 위에서 손을 흔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즈(NYT)가 평창동계올림픽에 북한이 참가하게 된 과정을 기사로 소개했다.

뉴욕타임즈는 8일 '조용한 외교가 핵 대치 속에서 올림픽'을 구했다는 제목으로 외교 뒷이야기를 풀었다.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에 앞장선 사람은 토마스 바스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이었다.

그는 2016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하계올림픽에서 북한 관리들을 만나 평창올림픽 참가를 독려했다.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를 저촉하지 않으면서도 북한이 금융.설비지원을 받아 올림픽에 참가할 수 있다는 점을 알린 것.

하지만 이듬해 2월 IOC에서 보낸 초청장에 북한은 응하지 않았다.

이에 바흐 위원장은 한국과 미국, 중국 정상을 만나 지원을 요청했지만 성과를 얻지 못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과는 세 번 이상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박 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보인 데다 지난해 탄핵되면서 흐지부지됐다.

시진핑 중국 주석도 '중국의 대북 영향력은 제한적'이라고 선을 그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북 정책은 한결같았다.

특히 지난해 7월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을 쏘아 올리고, 9월 6차 핵실험까지 하면서 상황은 더욱 어려워졌다.

바흐 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도 만났다. 지난해 9월 말이었다. 하지만 11월 북한이 ICBM '화성-15형'을 발사하면서 분위기는 더욱 얼어붙었다.

이 시기에 북한을 방문해 올림픽 참가를 설득한 사람이 제프리 펠트먼 유엔 사무차장이었다. 그는 미국 외교관 출신으로 '트럼프 정부'의 방북 허가를 받아 12월 5일 북한에 들어갔다. 제프리 사무차장은 북측에 대화를 이어가는 방법으로 올림픽을 이용하도록 제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의 반응은 역시 미온적이었다.

하지만 한국이 한미 합동 군사훈련을 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조금씩 변화가 생겼다. 실제 훈련이 연기되자 북한은 선수단 파견을 발표했다.

그러나 올림픽이 북핵 문제를 해결한 것은 아니라고 NYT는 덧붙였다.

미 싱크탱크인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의 수미 테리 선임연구원은 "정치.경제적 비용이 들지 않는데 북한이 왜 참가를 안 하겠느냐"는 견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