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측 논술서술형 수능 도입·수시정시 통합 제안
2018-01-24 11:30
교육부, 제2차 대입정책포럼 개최
대학들이 논술 서술형 수능 도입과 수시정시 통합을 제안했다.
교육부가 24일 건국대 법전원에서 개최하는 제2차 대입정책포럼을 앞두고 공개한 자료집에서 서울경인지역입학관련처장협의회장인 김현 경희대 입학처장은 ‘미래사회 변화에 대비한 대입제도 개편방안’을 주제로 협의회에서 연구한 결과를 발표하고 “미래사회 변화에 대비하여 중장기적으로 대학별 논술고사 대신에 국가 단위의 ‘논술·서술형 수능(수능II)’을 도입하고 채점은 대학이 담당하도록 하자”며 “수험생이 수능성적을 알고 지원하고 대입의 예측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수시와 정시를 통합하자”고 제안했다.
이날 행사는 대입제도 개편방안 마련을 위해 대학의 의견을 듣는 자리다.
김 처장은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은 대입의 안정성을 고려해 수능의 개편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하되, 수시와 정시모집의 적정 비율을 유지해 수험생에게 다양한 지원 기회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며 “수능 국어/수학(가/나형)/탐구2(사회, 과학)는 기존 상대평가제를 유지하고 2015개정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되는 통합사회·과학, 영어, 한국사는 절대평가 9등급제 시행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수능 전 영역 절대평가 등급제 도입 시 수능의 변별력이 약화돼 수능만으로 학생 선발이 어려워 학생부 교과, 논술, 면접 등 다른 전형요소와 결합해 선발할 것이 예상된다며 대학별고사 확대로 사교육비가 증가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처장은 4차 산업혁명시대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주요 선진국도 논술을 국가시험에 활용하고 있다며 수능시험을 객관식 오지선다형인 수능I과 논술·서술형인 수능II로 나눠 2회 시행할 것을 제시하고 출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맡고 채점은 대학이 직접 담당하는 방식을 내세웠다.
그는 논술·서술형 수능 도입 시 또 다른 사교육 우려가 제기될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 중등교육에서 ‘단답형 객관식 시험’이 아니라 ‘논술·서술형 시험’을 과감히 도입해 학교 차원에서 입시 준비가 가능하도록 하는 교육 개혁이 필요하다며 단기적으로는 현재 논술고사 시행 대학간 논술연합관리위원회를 자율적으로 구성해 논술 문제를 공동 출제하고 진행과 채점은 대학이 담당하도록 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대학이 연합해 공동으로 인문/자연계 등 논술고사를 대학 출제위원들이 출제하고 수능 시험 후 2주 토요일과 일요일 4회 중 계열별 지정일 중 대학이 선택해 실시하면 된다는 것이다.
김 처장은 논술·서술형 수능 도입으로 변별력 확보와 동점자 문제 해결이 가능하고 도입시 가장 큰 어려움인 채점을 대학에서 시행해 실현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논술 채점은 해당 대학 지원자에 한해 수험생의 논술답안지 스캔한 파일을 다운받아 대학이 직접 채점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수시와 정시를 통합해 대학이 학생부 교과 100%, 서류, 면접, 수능최저 등 학생부 종합, 수능 100%, 수능+논술, 면접, 실기 등 대학별고사 등을 조합해 자율적으로 선발할 수 있도록 하고 수능시험 성적 통지 후 원서를 접수하면 고교 3학년 2학기 교실이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고 그는 밝혔다.
황현정 경기교육연구원 연구위원은 논술방식 수능 도입에 대해 “사교육의 강력한 확대가 예상된다”며 “상대평가로 등장하는 논술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이 과연 담보될 수 있을지 의문으로 대입제도 변화에 따른 학교 현장의 혼란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전·세종·충남·충북지역입학관련처장협의회 회장 정영근 선문대 입학처장은 “지방 대학의 입장에서 대학별 논술 시험을 국가 논술 시험으로 변경하는 것은 수험생들에게 수능 부담감을 더욱 가중 시킬 것이고 지방대학에서는 필요 없는 국가시험”이라며 “다분히 서울 중심의 수능 체계로 보인다”고 밝혔다.
임병욱 인창고 교감은 “논술은 빼고 기존 수능의 틀에 서술형을 첨가하고 시간을 조정하면 될 것”이라며 “200자 이상이 돼 논술형이 된다면 전국에 논술 사교육 광풍을 몰고 올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서술형은 100~180자 사이로 글자 수 제한을 둘 것을 제안한다”고 했다.
임 교감은 “채점을 대학 자율로 할 수도 있지만 모범답을 출제 기관이 제시해 대학별 채점의 상이에서 오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수시정시 통합 문제는 수능성적을 알고 전형에 응모해 학생부교과, 종합, 논술 등에서 불필요한 경쟁과 매몰비용을 피할 수 있고 수능 이후 모든 일정이 진행돼 고교 교육 정상화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시에 합격하면 정시에 응시할 수 없는 ‘수시 납치’라는 현 수시, 정시의 모순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교육부는 대입정책포럼에서 제안된 안을 종합해 학생 성장 중심의 교육철학을 반영한 대입제도 개편방안을 마련하고, 국가교육회의 주도의 논의 과정을 거쳐 8월까지 확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