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현주소] 블록체인, 가상화폐 열풍에 가려져 중요성 외면
2018-01-22 00:00
이에 따라 분산화된 거래정보를 담은 가상원장(블록)을 가상의 체인으로 연결해 확장 및 사용하는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중개인 없이 개인 간 거래(P2P)가 가능한 블록체인은 '보안성·익명성·신속성'을 갖춰 데이터의 안전성과 거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2017년 8월 다보스포럼에서는 오는 2027년 전 세계 총생산(GDP)의 10%가 블록체인 기술로 저장될 것으로 예상했다. 세계 블록체인 시장규모는 2022년 37억 달러에 달하며, 국내 블록체인 시장규모는 2022년까지 3562억원 성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 세계적으로 금융권은 물론 공공, 유통, 물류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블록체인을 적용한 산업 구조 혁신의 움직임이 일어나는 까닭이다.
해외에서는 물류 관리 서비스(미국 월마트), 난민 지원을 위한 신원 인증 서비스(핀란드), 블록체인 기반 전자 투표(에스토니아)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한 새로운 사례들이 속속들이 등장하고 있다. 국내 역시 '가상화폐(암호화폐)' 비트코인의 열풍으로 전기화재 발화지점 분석지원 서비스(SK텔레콤), 이웃 간 전력거래·전기차 충전 서비스(한국전력공사) 등 블록체인을 도입하는 기업들이 차츰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가상화폐 투기 열풍에 가려 블록체인 산업 자체에 대한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다는 지적이 높다.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이 혼용될 정도로 용어와 개념에 대한 이해도 부족한 실정이다. 글로벌 주요 기업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온갖 사업모델을 쏟아내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아직 걸음마 수준에 불과해 후발주자로 뒤처지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정부는 과도한 가상화폐 열풍은 잠재우고 기반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은 활성화하겠다는 ‘투 트랙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이마저도 정부와 금융당국 간 상이한 입장차이에 블록체인 발전 가능성을 막을 규제의 사슬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블록체인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현 주소를 진단하고, 대안을 모색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