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25시] 정치인 장관들 잇따른 불출마 선언 배경은
2018-01-08 14:49
김부겸‧김영춘 등 “장관 소임 다하겠다”
차기 총선을 위한 장기적 포석…명분과 실리 얻는 전략
차기 총선을 위한 장기적 포석…명분과 실리 얻는 전략
문재인 정부 정치인 출신 장관들이 잇따라 올해 지방선거 불출마 선언을 해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매번 선거철만 되면 슬그머니 자리를 뜨던 분위기와 사뭇 다르다.
역대 정부에서 정치인 출신들은 선거철만 되면 자리를 옮기는 사례가 빈번했다. 그런데 이번 정부에서는 오히려 불출마를 공식화하며 ‘양심선언’이 줄을 잇고 있는 것이다.
실제 박근혜 정부에서는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 등이 모두 총선 출마로 일찌감치 장관직을 내놨다. 이들 대부분은 취임 초기에 “국가가 원한다면 정무직을 수행할 것”이라는 애매한 발언으로 선거출마 여지를 남겨뒀다.
이번 정부에서도 이런 의도는 다분했다. 특히 정치인 출신 장관이 대거 관가에 입성하면서 또다시 ‘8개월 장관’설이 끊임없이 나돌았다.
정치인 출신 장관들의 이같은 움직임은 새 정부 초기 정책적 기반을 다지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이라는 관측이 높다.
관가에서는 정치인 장관을 정부 초기에 중용한 배경엔 공무원 적폐청산과 조직기강 바로잡기 의도가 깔려있다는 반응이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정치인 출신 장관이 1년도 버티지 못하고 선거판에 뛰어들 경우, 초반부터 구설수에 오르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장관들 스스로도 이런 여론을 의식한 듯 선거 출마에 확실한 선을 긋고 있다.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과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은 올해 지방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모두 현재 소임이 더 중요하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자신들이 정치적 계산으로 정무직을 수행하고 있다는 곱지않은 시선을 돌리는데 충분한 처사라는 평가도 받았다.
청문회 당시부터 경기도지사 후보로 거론되던 김현미 국토부 장관 역시 출마의지가 없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밖에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의 경우처럼 관가에서 선거 출마에 대한 얘기가 아예 나오지 않는 유형도 존재한다.
그러나 관가 안팎에서는 정치인 출신 장관들이 자신의 소임을 강조하고 있지만, 불출마 선언에는 다른 속내가 깔려 있지 않느냐는 시각도 제기된다. 당장 올해 지방선거와 관련해서는 여당의 분위기가 괜찮다. 특히 주요 전략지역에는 여당 후보자들이 즐비하다.
8개월 정도 정무직 경력으로는 수년간 텃밭을 관리해 온 기존 후보자들과 경쟁이 쉽지 않다. 물론 전략공천도 가능하겠지만, 여당 입장에서 애매한 지역을 제외하고 무리수를 둘 이유는 없다.
정치인 출신 장관들도 이런 맥락에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아예 2년 후인 2020년 21대 국회의원 선거를 바라본 중기 전략으로 가겠다는 포석이 더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문 대통령 스타일상 큰 결격사유가 없다면 정무직 개각을 자주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취임 초기에도 이낙연 총리와 김동연 경제부총리 임기를 최대한 끌고 가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새 정부 초기에 정치인 출신 장관의 성적표가 나쁘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굳이 지방선거로 구설수에 오르는 것은 모양새가 좋지 않을 것”이라며 “오히려 2년 정도 안정적으로 정무직을 운영한다면 차기 총선에서 명분과 실리를 얻을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역대 정부에서 정치인 출신들은 선거철만 되면 자리를 옮기는 사례가 빈번했다. 그런데 이번 정부에서는 오히려 불출마를 공식화하며 ‘양심선언’이 줄을 잇고 있는 것이다.
실제 박근혜 정부에서는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 등이 모두 총선 출마로 일찌감치 장관직을 내놨다. 이들 대부분은 취임 초기에 “국가가 원한다면 정무직을 수행할 것”이라는 애매한 발언으로 선거출마 여지를 남겨뒀다.
이번 정부에서도 이런 의도는 다분했다. 특히 정치인 출신 장관이 대거 관가에 입성하면서 또다시 ‘8개월 장관’설이 끊임없이 나돌았다.
정치인 출신 장관들의 이같은 움직임은 새 정부 초기 정책적 기반을 다지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이라는 관측이 높다.
관가에서는 정치인 장관을 정부 초기에 중용한 배경엔 공무원 적폐청산과 조직기강 바로잡기 의도가 깔려있다는 반응이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정치인 출신 장관이 1년도 버티지 못하고 선거판에 뛰어들 경우, 초반부터 구설수에 오르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장관들 스스로도 이런 여론을 의식한 듯 선거 출마에 확실한 선을 긋고 있다.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과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은 올해 지방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모두 현재 소임이 더 중요하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자신들이 정치적 계산으로 정무직을 수행하고 있다는 곱지않은 시선을 돌리는데 충분한 처사라는 평가도 받았다.
청문회 당시부터 경기도지사 후보로 거론되던 김현미 국토부 장관 역시 출마의지가 없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밖에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의 경우처럼 관가에서 선거 출마에 대한 얘기가 아예 나오지 않는 유형도 존재한다.
그러나 관가 안팎에서는 정치인 출신 장관들이 자신의 소임을 강조하고 있지만, 불출마 선언에는 다른 속내가 깔려 있지 않느냐는 시각도 제기된다. 당장 올해 지방선거와 관련해서는 여당의 분위기가 괜찮다. 특히 주요 전략지역에는 여당 후보자들이 즐비하다.
8개월 정도 정무직 경력으로는 수년간 텃밭을 관리해 온 기존 후보자들과 경쟁이 쉽지 않다. 물론 전략공천도 가능하겠지만, 여당 입장에서 애매한 지역을 제외하고 무리수를 둘 이유는 없다.
정치인 출신 장관들도 이런 맥락에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아예 2년 후인 2020년 21대 국회의원 선거를 바라본 중기 전략으로 가겠다는 포석이 더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문 대통령 스타일상 큰 결격사유가 없다면 정무직 개각을 자주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취임 초기에도 이낙연 총리와 김동연 경제부총리 임기를 최대한 끌고 가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새 정부 초기에 정치인 출신 장관의 성적표가 나쁘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굳이 지방선거로 구설수에 오르는 것은 모양새가 좋지 않을 것”이라며 “오히려 2년 정도 안정적으로 정무직을 운영한다면 차기 총선에서 명분과 실리를 얻을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