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특수 물건너 가나"…트럼프 핵협정 불인증에 글로벌 기업 긴장

2017-10-15 15:43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이란이 핵합의 이행을 하지 않았다고 선언한 직후 TV 연설을 통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로하니 대통령은 대국민 연설을 통해 미국의 불인증 선언에도 핵합의를 계속 지키겠다고 다짐했다. [사진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 핵협정을 재인증하지 못하겠다고 나서면서 이란 특수를 꿈꾸며 대규모 투자에 나섰던 다국적 기업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보잉을 비롯한 기업들은 이란 핵협정이 파기되고 제재가 다시 시작될까 우려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4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란에 진출한 대표적인 미국 기업은 항공업체인 보잉이다. 지난해 이란에 180억달러(약 20조3000억원) 규모의 여객기 80대를 판매하기로 했다. 이란 항공 측은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핵협정 인증 불가에도 보잉의 판매 계약 성사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CNBC는 14일 전했다. 보잉은 "이번 판매는 미국의 수많은 일자리 창출이라는 효과를 낼 것이다"라면서 이란과의 계약 유지가 미국에 이익이 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나섰다.  

보잉의 유럽의 항공기 제조업체인 에어버스도 이란에 비행기 100대를 200억달러에(약 22조6000억원)에 팔기로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에어버스는 이미 3대를 이란항공에 인도했다. 

현재 항공업체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외국 기업들 이란에 진출해있다. 프랑스의 경우에는 통신사 오렌지가 지난해 부터 이란 이동통신 사업자를 인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자동차 생산업체인 르노는 이란에서 연간 20만대 생산 가능한 설비를 구축했다. 

미국 업체인 제너럴일렉트릭오일앤가스(GE Oil & Gas)를 비롯해 영국-네덜란드 합작 정유회사 로얄 더치 쉘을 비롯해 이탈리아, 노르웨이의 글로벌 석유·가스 업체들 역시 이란에서 유전·가스전 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다만 이들 에너지 기업은 미국의 제재와는 무관한 중국 은행들을 이용해 투자와 계약 부분 재무 처리를 하고 있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대이란 제재를 재개하게 되더라도 이란 내 사업이 영향에 큰 타격을 받지 않을 받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지난 2015년 7월 이란과 미국·영국·프랑스·독일·중국·러시아 등 6개국이 합의한 포괄적공동행동계획(JCPOA)이인 이란 핵협정은 이란이 핵개발을 중단하면 제재를 멈추겠다는 내용을 담고있다. 

37년만에 대이란 경제제재를 해제를 약속한 이란 핵협정은 기업들에 이란발 중동 붐에 대한 기대감을 키웠다. 그러나 이달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 협정 준수에 대한 재인증을 거부하면서 이란에 진출한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사업을 계속할 것인지 중단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하는 등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고 WSJ은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재인증을 거부하면서 결정권은 의회로 넘어갔다. 이란 핵합의 검정법안인 코커-카딘법(INARA)에 따르면 행정부가 재인증을 거부할 경우 의회는 60일 내로 대이란 제재 재개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