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상, 내년보다 11월이 더 유력
2017-08-17 15:14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금리인상 시기를 놓고 고심 중이다.
이 총재와 한은은 이미 수차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직간접적으로 드러낸 데다가 최근의 8·2 부동산 대책에 금리 정책도 보조를 맞춰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가계부채 상승세를 잡기 위해서는 한은이 연내 금리 인상 카드를 꺼내야 한다는 것이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장에서는 부동산 정책이 어느정도 안정된 상황에서 10월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면 11월 금리 인상이 유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달 한은 금통위에서는 "경기회복세가 아직 견조하지 않다"며 만장일치로 금리 동결 결정을 내렸다. 8·2 부동산 대책의 영향을 확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오는 31일 금통위에서도 금리는 동결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번 금통위에서 소수의견으로 인상 신호를 준 뒤 10월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상향하면서 11월 금리 인상을 할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10월에 성장률을 올리면 유례없이 4월과 7월에 이어 한 해에 세 번이나 상향 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금리 인상의 명분이 될 수 있다.
1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당분간 미국의 행태를 지켜보겠다며 한 발 물러선 데 대해 "매우 현명하고 논리적인 결정"이라고 말하며 북한발 지정학적 리스크가 해소 분위기를 맞고 있다. 그러나 21일부터 진행되는 한·미 합동군사훈련(을지훈련)과 다음달 9일 북한정권수립일을 전후해 북한이 다시 도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경기가 지속적인 개선세를 보여야 금리 인상이 가능한데 한반도 정세 불안이 증폭되고 이로 인해 국내 소비심리와 부동산 시장이 위축되면 금리 방향을 속단하기 어렵게 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경기 회복세가 뚜렷해지고 8·2 대책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세에 어느정도 제동이 걸린 만큼 한은 금리 정책이 보조를 맞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면서도 "기존의 금리 인상 변수에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더해져 한은의 움직임이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