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中이통사들, 무늬만 '데이터 무제한'… '뿔'난 네티즌들

2017-06-24 06:00

中이통사들, 무늬만 데이터 무제한… 뿔난 네티즌들

[사진=신화사]


아주차이나 박은주 기자 = 스마트폰의 대량 보급으로 문자나 전화를 이용하는 대신 이동인터넷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스마트폰 데이터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중국 통신사들이 주력 상품으로 내놓은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가 명칭 문제로 도마에 올랐다.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가 '무제한'이라는 이름과 달리 일정 사용량을 넘기면 속도가 느려지고 심지어 인터넷까지 끊기자 소비자를 우롱하는게 아니냐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차이나유니콤이 선보인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빙지링(冰激淩)’ 중 198위안(약 3만3000원)짜리 요금제의 경우, 한 달에 15GB 이상을 쓰면 인터넷 속도가 3Mbps 이하로 떨어지고 누적 사용량이 100GB을 초과하면 인터넷 사용이 중단된다. 차월로 넘어가면 다시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다른 통신사의 상황도 다르지 않다. 차이나모바일와 차이나텔레콤이 내놓은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 역시 일정 사용량을 넘으면 속도와 인터넷 사용에 제약이 걸린다. 중국 3대 통신사가 출시한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의 가격대는 188위안~398위안(약 3만1500원~6만6500원)이다. 우리나라 3대 통신사의 무제한 데이터 요금 최저가는 모두 월 6만5890원이다.

차이나모바일의 238위안 짜리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다는 한 네티즌은 "이 요금제는 중국 내에서 데이터 무제한 사용과 500분 무료 통화를 제공하고 있지만, 사용량이 10GB를 초과하면 인터넷 속도가 2G~3G 수준으로 현저하게 느려진다"면서 불만을 토로했다.

장쑤성 방송국 유명 뉴스 평론가 후이톈(惠天) 역시 "통신사는 사용량 제한이 있음에도 무제한이라는 말을 사용해 소비자들을 현혹하는 허위광고를 하고 있다"면서 "인터넷이 끊기는 게 무슨 '무제한'이냐"고 비난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통상적으로 '무제한 데이터'는 소비자들이 부르는 명칭일 뿐이며, 통신사들은 광고에 이 단어를 명확하게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허위 광고가 아니다"라며 변론했다. 또 "이는 국제적으로 쓰이는 용어일 뿐, 실제로 사용량이 무제한인 요금제를 지칭하는게 아니다"라고 말해 여론은 더욱 들끓고 있다.  

이런 발언은 웨이신 등을 통해 퍼지며 중국 네티즌들로부터 뭇매를 맞고 있다. 이웃 나라인 한국이나 미국 등에서 실시하고 있는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의 경우, 일정 사용량을 초과하면 중국과 마찬가지로 속도가 어느정도 느려지긴 하지만 인터넷이 끊기는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 

논란이 연일 이어지자 중국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의 명칭에는 '무제한'보다는 '대용량'이라는 단어가 더 적합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현재는 인터넷 네트워크 인프라 미비 등 중국의 자원적 제약 때문에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는 무리지만, 나중에 5G 등 다른 기술이 개발되면 실현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지난 4월 중국의 1인당 월평균 4G 스마트폰 데이터 사용량은 1.3GB에 달했다. 이는 같은 기간 LTE 폰 기준 사용량 6.06GB을 기록한 한국의 6분의 1 수준이다. 

스마트폰 데이터는 전 세계적으로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시장으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 글로벌 통신장비업체 에릭슨의 '모발리티 리포트'에 따르면 스마트폰 한 대당 월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지난해 2.1GB였고, 2022년에는 12GB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작년 기준 약 6배 늘어나는 셈이다.

에릭슨은 데이터 사용량 급증의 원인으로 스마트폰 보급 확대와 동영상 시청 증가를 꼽았다.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을 포함한 전체 모바일 서비스 가입자는 작년 75억명에서 2022년 90억명까지 증가했다. 이 가운데 스마트폰 가입자는 39억명에서 연평균 10%씩 증가해 2022년에는 68억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